역세권고밀도 개발지의 가치, ‘서울원 아이파크’로 증명

입력 2024-12-11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내 역세권 고밀도 개발지역 내 주거시설이 억대 웃돈을 누리고 있는 가운데, 광운대 역세권 개발을 통해 공급되는 ‘서울원 아이파크’의 청약결과 역세권 고밀도개발지에 대한 미래가치가 다시 한번 증명됐다.

최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시 광진구 자양1구역 재개발을 통해 공급한 ‘롯데캐슬 이스트폴’이 지난 8월 전매제한이 해제됨에 따라, 전용면적 84㎡ 기준 15억5030만 원에 달하는 실거래가를 기록했다. 이 단지 해당 면적형의 분양가는 지난해 8월 분양당시 13~14억 원대 수준으로 1년 만에 최소 1억 5천만 원에서 최대 2억 5천만 원에 해당하는 프리미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공급된 2019년 4월 분양한 ‘청량리역 한양수자인 그라시엘’ 전용면적 84㎡도 지난 8월 16억3000만 원에 실거래가 이루어졌다. 분양 당시 이 단지의 분양가는 10억 대로 분양 후 약 5년 만에 6억 원에 달하는 프리미엄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역세권 고밀도 개발의 경우 낙후되어 있던 기존의 주거 환경은 물론 지역 전체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줄 만큼 파급력이 크다”라며 “각종 생활 인프라의 집중과 랜드마크성으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만큼 역세권 고밀도 개발지 내 주거시설을 눈여겨볼 필요성이 있다”라고 전했다.

실제로 HDC현대산업개발이 광운대역세권 개발을 통해 공급하는 ‘서울원 아이파크’는 이러한 역세권 고밀도 개발지에 대한 미래가치와 수요자들의 기대감을 엿볼 수 있었다.

25일~27일 청약일정을 진행한 ‘서울원 아이파크’는 1414가구의 일반공급 물량에 2만2100건의 청약이 접수하며 평균 15.6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최고청약경쟁률은 268.53대 1에 달했다.

업계에서는 중대형 중심으로 공급된 ‘서울원 아이파크’가 수만명의 청약자가 몰려들며 우수한 청약성적을 거둔데 있어, 역세권 고밀도 개발지에 대한 미래가치가 청약성적에도 반영된 것으로 평가한다.

이 가운데 ‘서울원 아이파크’의 당첨자 발표가 이루어진 데 이어, 정당계약에 돌입하며 수요자들의 이목이 쏠리는 모습이다. 당첨자 발표를 마친 ‘서울원 아이파크’는 당첨자 및 예비당첨자 서류접수 이후 12월 16일~ 19일 정당계약을 진행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제사령탑 부재에 韓경제 적신호...'0%대 성장률' 현실화하나
  • 폐업자·영세사업자 재기 지원…은행권, 금융안전망 구축
  • 캐즘 늪 빠진 K배터리, 허리띠 졸라매고 신시장 공략
  • 메모리 시장에서 밀린 삼성전자…반전 노릴 '킥'은 [ET의 칩스토리]
  • 턴제 RPG와 액션 RPG의 조합, ‘클레르 옵스퀴르:33원정대’ [딥인더게임]
  • 4월 아파트 거래 어디로 쏠렸나?…토허제 풍선효과에 양천·마포 ‘집중’
  • 5월 연휴 끝나면 美 FOMC…고용·기대 인플레 변화 핵심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09,000
    • -2.1%
    • 이더리움
    • 2,573,000
    • -1.91%
    • 비트코인 캐시
    • 504,000
    • -1.75%
    • 리플
    • 3,049
    • -2.71%
    • 솔라나
    • 206,400
    • -1.39%
    • 에이다
    • 946
    • -4.15%
    • 이오스
    • 1,002
    • -0.2%
    • 트론
    • 355
    • -0.28%
    • 스텔라루멘
    • 372
    • -3.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100
    • -0.67%
    • 체인링크
    • 19,550
    • -3.27%
    • 샌드박스
    • 391
    • -2.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