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그린메탄올 연료 공급

입력 2024-02-0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선도

▲해양수산부는 2일 울산항에서 세계 최초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의 그린메탄올 공급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사진제공=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2일 울산항에서 세계 최초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의 그린메탄올 공급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사진제공=해양수산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그린메탄올 연료 공급에 성공했다.

해양수산부는 이달 2일 울산항에서 16k급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의 그린메탄올 공급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4일 밝혔다.

그린메탄올은 황산화물 100%, 질소산화물 80% 및 탄소 저감 효과가 최대 95%에 달하는 친환경 선박연료다.

최근 머스크 등 글로벌 선사들이 발주한 메탄올 추진선의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메탄올의 선박 대 선박(STS) 방식 연료 공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린메탄올 등 친환경 선박 연료 공급 거점항만을 구축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국제 항만 간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메탄올 공급 자체안전관리계획 승인 업무지침 마련 등 관련 제도 기반을 정비하고 작년 7월과 11월, 2번의 메탄올 공급 실증을 통해 노하우를 축적했다.

특히 항만시설사용료 감면, 안전규제 신속 검토 지원 등을 통해 해외 항만과의 유치 경쟁을 뚫고 이번 실증 건을 성사시켰다.

이를 통해 우리 무역항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항만으로서 세계에서 입지를 더욱 단단히 다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향후 국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산업의 성장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수부는 앞으로도 메탄올 공급 표준작업절차를 마련하는 등 관련 제도를 고도화하고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민간과도 지속해서 협력할 계획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국제 해운분야의 ‘2050 순 탄소 배출량 ’0‘ 달성’이라는 목표 아래, 친환경 연료로의 전환이라는 세계적 흐름을 우리나라가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경쟁력 강화 지원 등 전방위적인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퇴사자 월급 단돈 9670원 지급"…강형욱 갑질논란 추가 폭로 계속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하면…내 마일리지카드 어떻게 하나 [데이터클립]
  • 윤민수, 결혼 18년 만에 이혼 발표…"윤후 부모로 최선 다할 것"
  • ‘시세차익 20억’…래미안 원베일리, 1가구 모집에 3만5076명 몰려
  • "이더리움 ETF 승인 가능성 매우 높다"…비트코인, 39일 만에 7만 달러 돌파[Bit코인]
  • '최강야구' 고려대 직관전, 3회까지 3병살 경기에…김성근 "재미없다"
  • 이란 대통령 헬기 사고 사망…광장 가득 메운 추모 인파 현장 모습
  • 비용절감 몸부림치는데…또다시 불거진 수수료 인하 불씨 [카드·캐피털 수난시대上]
  • 오늘의 상승종목

  • 05.21 11: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987,000
    • +5.19%
    • 이더리움
    • 5,003,000
    • +17.22%
    • 비트코인 캐시
    • 708,000
    • +5.36%
    • 리플
    • 731
    • +3.1%
    • 솔라나
    • 251,700
    • +5.76%
    • 에이다
    • 685
    • +5.55%
    • 이오스
    • 1,157
    • +5.86%
    • 트론
    • 169
    • +0.6%
    • 스텔라루멘
    • 154
    • +4.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950
    • +6.67%
    • 체인링크
    • 23,210
    • +0.91%
    • 샌드박스
    • 637
    • +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