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장기화, 통행량 감소 효과 낮아…통행 집중도 분산 필요"

입력 2022-04-02 0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교통연구원, 모빌리티 빅데이터로 3~5차 대유행 분석 결과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앞 젊음의 거리가 저녁 시간을 즐기려는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앞 젊음의 거리가 저녁 시간을 즐기려는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거리두기 단계 조정 등에 의한 통행량 감소 효과가 거의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통행 총량의 감소를 유도하기 보다는 통행 집중도를 분산하는 방향으로 정책추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은 1일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국민들의 통행량이 감소하는 폭이 급격히 줄어든 상태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활용해 거리두기 단계조정에 따른 통행량 감소 정도를 코로나19 3차 대유행 전후(2020년 10월~2021년 5월), 4차 대유행 전후(2021년 6월~2021년 11월), 5차 대유행 전후(2021년 12월~2022년 1월) 등 3개 시기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3차 대유행 기간 동안 거리두기 단계의 상향 조정으로 1주일 기준 최대 약 28만 통행까지 감소하면서 그 영향력은 약 16주 간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대유행 기간 동안에는 거리두기 단계의 상향 조정으로 1주일 기준 최대 약 22만 통행까지 감소하면서 그 영향력은 약 6주 간 지속됐다. 하지만 5차 대유행 동안에는 거리두기 단계변화에도 통행량이 뚜렷하게 감소되는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이 5차까지 장기간 지속되면서 거리두기 단계강화가 국민의 통행량 감소에 끼치는 영향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유행 전체 기간을 하나의 기간으로 분석한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됐다.

확진자의 증가가 통행량 감소에 끼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였다. 분석결과 3차 대유행 시기에는 확진자수 증가에 따라 1주일 기준 최대 약 11만 통행까지 감소하면서 그 영향이 약 20주 간 지속됐고 4차 대유행 시기에는 확진자수 증가에 따라 1주일 기준 최대 최대 6만 통행까지 감소하면서 그 영향이 약 6주 간 지속됐다. 그러나 5차 대유행 시기에는 확진자수 증가에도 통행량이 뚜렷하게 감소되는 경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원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거리두기 단계 조정 등에 의한 통행량 감소 효과는 거의 사라졌다고 볼 수도 있다고 판단했다. 이어 향후에는 거리두기 정책을 강화하더라도 통행량 감소 효과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돼 효과적인 대유행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정책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조범철 연구위원(모빌리티빅데이터분석팀장)은 “향후에는 통행 총량의 감소를 유도하기 보다는 통행 집중도를 분산하는 방향으로 정책추진이 필요하며, 특히 극심한 출퇴근 혼잡 등 특정시설이나 시간에서의 집중도를 완화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역직구 날개’ 펼친 K커머스…정부 ‘직구 정책’에 꺾이나 [지금은 K역직구 골든타임]
  • 김호중 '음주 뺑소니 혐의' 결정적 증거…소속사 본부장 "메모리 카드 삼켰다"
  • '동네북'된 간편결제…규제묶인 카드사 vs 자유로운 빅테크 [카드·캐피털 수난시대 下]
  • [종합] 뉴욕증시, 엔비디아 실적 앞두고 상승...S&P500·나스닥 또 사상 최고
  • 비트코인, 이더리움 ETF 승인 여부에 '뒤숭숭'…도지·페페 등 밈코인 여전히 강세 [Bit코인]
  • 외국인이냐 한국인이냐…'캡틴' 손흥민이 생각하는 국대 감독은?
  • ‘인기 있는 K팝스타’는 여자가 너무 쉬웠다…BBC가 알린 ‘버닝썬’ 실체 [해시태그]
  • 서울시민이 뽑은 랜드마크 1위는 '한강'…외국인은 '여기'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5.22 10: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410,000
    • -0.58%
    • 이더리움
    • 5,200,000
    • +3.38%
    • 비트코인 캐시
    • 705,000
    • -1.12%
    • 리플
    • 736
    • +0.55%
    • 솔라나
    • 245,200
    • -2.7%
    • 에이다
    • 678
    • -0.88%
    • 이오스
    • 1,189
    • +3.03%
    • 트론
    • 170
    • +0.59%
    • 스텔라루멘
    • 154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350
    • -1.62%
    • 체인링크
    • 23,200
    • -0.73%
    • 샌드박스
    • 642
    • +0.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