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기쁨(悅)과 즐거움(樂)

입력 2017-02-13 10: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즐거운 날’, ‘기쁜 나날’ 등 즐겁다는 말과 기쁘다는 말을 분별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국어사전마저도 ‘기쁘다’를 “마음이 흐뭇하고 흡족하다”라는 뜻으로 풀이하고, ‘즐겁다’도 “마음에 거슬림이 없이 흐뭇하고 기쁘다”는 풀이를 하여 두 말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한자 ‘悅’은 ‘기쁠 열’이라고 훈독한다. ‘悅’은 대개 마음(?=心)의 작용으로 인해 사람(?=人)의 입(口)이 여덟 팔(八)자 모양으로 벙긋 벌어지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라고 풀이한다. 따라서 悅은 마음이 풍요롭고 편안한 상태를 나타낸 글자라고 할 수 있다. ‘논어’ ‘학이편’의 첫 구절인 “배우고 수시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不亦說乎?]”에 나오는 ‘說(=悅)’이 바로 그런 기쁨에 해당하는 글자이다.

한자 ‘樂’은 ‘즐거울 락’, ‘즐길 요’. ‘음악 악’ 등 뜻에 따라 음이 달라지는 글자이기도 한데, 이 글자의 구조에 대해서 혹자는 나무[木] 받침대 위에 큰 북[白] 작은 북[?]이 얹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글자로서 오늘날의 드럼과 같은 악기를 형상화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혹자는 줄기[木]에 벼이삭이 주렁주렁 매달린 상태를 형상화한 글자로 보기도 한다.

북을 두드리며 노는 것도, 벼이삭이 주는 풍요로움도 다 몸으로 느끼는 즐거움이다. 따라서 樂은 본래 육신적 즐거움을 뜻하는 글자이다. 독서나 명상을 통해 마음으로 얻는 것이 바로 기쁨, 즉 悅이고, 음악에 맞춰 추는 춤이나 운동 등을 통해서 몸으로 얻는 것이 즐거움, 즉 樂인 것이다.

몸이 아무리 즐거워도 마음에서 기쁨이 샘솟지 않으면 자칫 추악한 향락이 될 수 있다. ‘인생은 즐겨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빠지다 보면 별짓을 다 할 수 있다.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기쁨으로 사는 청정한 삶이 더 아름답지 않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노인 인구 1000만 명 시대…‘건강한 노화’ 열쇠 찾았다 [바이오포럼2025]
  • 일감은 산더미인데 ‘일손’이 없다 [장인 없는 제조강국上]
  • 서울에서 자녀 출산한 무주택가구, 최대 720만 원 받으려면 [경제한줌]
  • '호텔경제학'=짐바브웨...'셰셰'는? [그 공약, 안 사요]
  • 단독 “유광열 하이엠솔루텍 대표, 중동 찾았다”…LG전자, ‘글로벌 사우스’ 공략 박차
  • 도루·헤드샷·벤치클리어링…야구 불문율 이제는 극혐? [요즘, 이거]
  • 대선 테마 '정책주' 조정 틈타… '인맥주' 다시 들썩
  • BTS 제이홉, ‘빌보드 매거진’ 커버 장식…韓 남자 솔로 중 최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1 10: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368,000
    • +0.83%
    • 이더리움
    • 3,565,000
    • +0.39%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0.36%
    • 리플
    • 3,316
    • -1.4%
    • 솔라나
    • 237,000
    • +0.25%
    • 에이다
    • 1,046
    • -0.19%
    • 이오스
    • 1,101
    • +1.19%
    • 트론
    • 377
    • +0.27%
    • 스텔라루멘
    • 405
    • +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050
    • -1.18%
    • 체인링크
    • 22,080
    • -0.81%
    • 샌드박스
    • 443
    • +1.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