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1월 1일 首尾相關(수미상관) 시작과 끝이 서로 호응하는 글쓰기

입력 2016-01-01 07: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김소월(金素月)의 명시 ‘진달래꽃’은 “나 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오리다”로 시작된다. 그리고 “나 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로 끝난다. 정지용(鄭芝溶)의 시 ‘고향’은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로 시작해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로 끝난다.

이렇게 시가(詩歌)에서 첫 연과 끝 연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반복되는 구성법이 수미쌍관법(首尾雙關法)이다. 수미상관(首尾相關) 수미상응(首尾相應)이라고도 한다. 첫 연을 끝 연에 되살리거나 비슷한 구절 문장을 다시 배치하는 것은 운율을 중시하고 의미를 강조하려는 표현수법의 하나다. 그렇게 함으로써 음악적 효과를 살리면서 균형을 통해 안정감을 얻는 기법이다. 시는 물론 소설 수필 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고 있다. 글을 쓸 때 자신도 모르게 그렇게 하는 사람들이 많다.

평론가이며 시인인 권혁웅은 ‘시론’이라는 저서에서 수미상관을 우리 시에 독특한 구성 방법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표적인 예로 든 것이 바로 ‘진달래꽃’이다. 하지만 수미상관이 우리 시에만 나타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중국인들은 수미호응(首尾呼應) 수미조응(首尾照應)이라고도 한다.

2016년 병신년이 시작된 날이어서 수미상관을 생각해보았다. 나라든 개인이든 처음과 끝이 잘 어울리는 해가 됐으면 좋겠다. 수미상관이 돋보이는 윤석중 작사 이수인 작곡의 동요 ‘앞으로’를 읽으며 마무리한다.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지구는 둥그니까 자꾸 걸어 나가면/온 세상 어린이를 다 만나고 오겠네/온 세상 어린이가 하하하하 웃으면/그 소리 들리겠네 달나라까지/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그래, 어린이같이 순수한 마음으로 앞으로 나가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20일)부터 병원·약국 갈 때 신분증 필수…"사진으로 찍은 신분증은 안 돼"
  • 김호중 클래식 공연 강행…"KBS 이름 사용 금지" 통보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하면…내 마일리지카드 어떻게 하나 [데이터클립]
  • “높은 취업률 이유 있네”…조선 인재 육성 산실 ‘현대공업고등학교’ 가보니 [유비무환 K-조선]
  • 9위 한화 이글스, 롯데와 '0.5경기 차'…최하위 순위 뒤바뀔까 [주간 KBO 전망대]
  • 단독 ‘에르메스’ 너마저...제주 신라면세점서 철수한다
  • 이란 최고지도자 유력 후보 라이시 대통령 사망...국제정세 요동칠까
  • '버닝썬 게이트' 취재 공신은 故 구하라…BBC 다큐 공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5.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864,000
    • -0.52%
    • 이더리움
    • 4,296,000
    • -0.07%
    • 비트코인 캐시
    • 680,000
    • +0.37%
    • 리플
    • 709
    • -1.53%
    • 솔라나
    • 246,600
    • +3.35%
    • 에이다
    • 648
    • -1.97%
    • 이오스
    • 1,101
    • -1.17%
    • 트론
    • 169
    • -0.59%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850
    • -1.73%
    • 체인링크
    • 23,100
    • +0.09%
    • 샌드박스
    • 600
    • -1.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