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결권자문사 서스틴베스트는 올해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에서 배당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개정하고 과소배당에 대한 판단기준은 강화, 배당 규모가 과다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반대하는 규정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서스틴베스트는 14일 발간한 '2025 정기주주총회 시즌 프리뷰' 보고서를 통해 "2025년은 국내 상장기업의 기업 가치제고(밸류업) 계획
국내 의결권 자문사인 한국ESG기준원도 고려아연 이사회 개혁 필요성에 공감하며 집중투표제 도입에 반대할 것을 권고했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국ESG기준원은 전일 기관투자자들에게 오는 23일 고려아연 임시주주총회에서 이같은 의결권 행사를 권고한다는 의안 분석 보고서를 발송했다.
한국ESG기준원은 “장기간 정관 내 집중투표제를 배제해
#지난해 해임 사태를 겪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3월 이사회 복귀를 알리며 새로운 여성 이사를 소개했다. 수 데스몬드 헬만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 전 CEO와 니콜 셀리그먼 소니 전 사장, 피지 시모 인스타카트 CEO 등 3명이다. 미국 사회가 백인 남성 위주인 오픈AI 이사회를 강하게 비판한 데 따른 조치다. 주요 외신은 챗GPT
개미, 행동주의 펀드에 편승…강성부 따라잡기 기승먹튀 행동주의 부추기고 경영권 흔들 수 있다는 우려도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라는 멍석이 깔린 틈을 타 행동주의 펀드들이 활개를 친다. 주가 상승이라는 공통된 목표 아래 개인투자자도 이들 행동주의 펀드에 지지를 보내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행동주의 펀드의 과도한 경영 개입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배구조 개선 및 주주환원 정책 발표국민연금, KCGI, 글로벌 의결권자문사 등 의견 적극 반영 나서
DB하이텍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대표이사, 이사회 의장의 분리와 내부거래위원회·보상위원회 설치 및 감사 기능 강화 등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DB하이텍은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친화정책 강화를 골자로 하는 경영혁신 계획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내년 정기 주주총회부터 기업의 의안 분석 시 이사회 내 성별 다양성 기준을 강화하는 방침이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글로벌 주주총회 자문기관 머로우 소달리는 13일 세계적 의결권 자문사인 글래스루이스와 '미리 보는 한국 주주총회 시즌' 웹세미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김준호 글래스루이스 리서치 애널리스트를 비롯해 정성엽 머로
글로벌 의결권자문사인 글래스루이스(Glass Lewis)는 28일 열리는 KT&G 주주총회에서 KT&G 이사회가 제안한 모든 안건에 찬성표를 행사할 것을 권고했다고 17일 밝혔다.
글래스루이스는 “안다자산운용(이하 안다) 및 플래쉬라이트캐피탈파트너스(이하 FCP)의 주주제안과 KT&G 이사회의 대응 논리 및 이슈 전반을 검토했을 때, 현재 주주제안 측
“미공개 정보 이용, 효율적 통제할 수 있는 수단 필요”기관투자자 신인 의무 이행 지원, 최종투자자 보호 목표불공정 거래 행위 과징금, 부당이득 법제화 등 법안 조속 도입
“자본시장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행정제재 수단이 미흡한 만큼 제재 실효성 제고를 위해 자본시장 거래제한과 상장사 임원선임 제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정준혁 교수는 3일 서울 여의도
2022년 3월 글로벌 의결권자문사인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는 전 세계 6100여 개 기업의 ESG 평가 수준을 공개하는 온라인 포탈 ISS ESG Gateway를 오픈한다고 밝혔다. 주목할 점은 기업의 ‘ESG 등급’(ESG Corporate Rating)뿐 아니라 ‘지배구조 품질 점수’(Governance
SM엔터테인먼트(SM)가 라이크기획과 맺은 계약을 해지하라는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얼라인파트너스)에 이해한다고 답했다. 라이크기획은 이수만 SM 총괄 프로듀서의 개인 회사로, 지난해 SM은 라이크기획에 프로듀싱 용역 등으로 240억 원의 영업비용을 지급했다. 얼라인파트너스와 이들의 특수관계자는 SM 지분 0.91%를 보유 중이다.
SM에서 1400억
금호석유화학 주주총회 안건에 대해 국내외 의결권자문사들의 의견이 엇갈렸다. 박찬구 회장과 그의 조카이자 개인 최대주주인 박철완 전 상무의 힘겨루기가 격화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금호석유화학 정기 주주총회의 안건에 대해 한국ESG연구소가 회사 측이 제안한 주요 내용에 ‘찬성’을 권고했다고 18일 밝혔다.
금호석유화학에 따르면 한국ESG연구소는 ‘주주
경영권 분쟁이 벌어지는 한국타이어 총수 일가의 표 대결에서 장남 조현식 부회장이 승리를 거뒀다. 소액주주의 지지를 바탕으로 최대주주인 차남 조현범 사장을 이겼는데, 대기업에서 이른바 ‘3%룰’이 효력을 보인 첫 사례다.
한국앤컴퍼니(한국타이어 지주사)는 30일 오후 1시 30분 경기 성남시 본사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
형제간 경영권 다툼이 진행 중인 한국타이어의 주주총회가 오늘 열린다. 올해부터 감사위원ㆍ사외이사 선임 시 주주 의결권이 3%로 제한되면서 소액주주의 선택에 따라 승부가 갈릴 전망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와 지주사인 한국앤컴퍼니는 이날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이번 주총에서 장남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부회장과 최대주주
2019년 3월 27일 오전 서울 강서구 공항동 대한항공 빌딩. 제57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대한항공 주주들은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을 자리에서 몰아냈다. 조 전 회장의 이사 연임 안을 놓고 주주들이 투표한 결과 찬성 64.1%, 반대 35.9%로 부결했다. 재벌 총수가 회사 주인인 주주들의 선택으로 이사진에서 퇴출당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참여연대와
의결권 자문사들이 ‘지배·사업 구조 개편과 경영권 분쟁 뒤 숨은 권력’으로 떠올랐다. 주요 상장사 주주총회의 ‘입김’ 수준을 넘어서 오너들의 지배구조 강화와 승계 작업에 ‘브레이크’를 거는가 하면 최고경영자(CEO)의 연임에 찬성 혹은 반대 의견을 내며 외국인들의 표심을 좌우하는 등 절대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일각에선 아이에스에스(ISS)나 글래스루이
“몸에 좋은 약은 입이 쓰다. 자문은 기업을 건강하게 하는 힘이다”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이사는 이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전통적인 주주이익 위주의 의안 분석에서 이해관계자들과 동반성장하는 방향으로 의안 분석이 발전해 나가야 한다”며 “의결권 자문사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어느 정도 규율하는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 등도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2018년 4월 6일 골드만삭스 주주들은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로 부터 한 통의 보고서를 받는다. 골드만삭스 임직원에 대한 과도한 주식 지급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회사의 주식 보상계획에 반대하라고 권고한 것이다. ISS 대변인은 고객들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골드만삭스의 주식 보상
자본시장 전문가들은 국내 의결권 자문사들의 투명성·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에 의견을 모았다. 가장 시급한 것은 공적규제 도입이다. 금융위원회는 ‘의결권 자문사’ 관련 연구용역을 끝마치고 공시 강화 등 해외사례를 토대로 공적규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의결권 자문사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여러 공적 규제를
1월 금융위에서 발표한 ‘책임투자 활성화’ 방안에는 ‘스튜어드십 코드 성과 평가 및 개정 검토’와 ‘의결권자문사 관리 감독 강화’가 포함됐다. 즉, ‘ESG 정보 공개 확대’ 과제 외에도 2016년 12월에 제정 도입된 한국형 스튜어드십 코드의 시행 성과를 평가하고, ‘ESG 관련 수탁자책임’을 강화하는 등 개정을 검토하며, 이러한 역할을 매개하는 의결권
금융위원회가 ‘기업공시제도 종합 개선 방안’을 통해 투자자의 이해를 높이고 기업의 공시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도규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4일 기업공시제도 개선 간담회(영상회의) 모두 발언에서 “기업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공시하는 것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개인투자자들이 공시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되, 기업들이 과도한 공시부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