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 신재생에너지 창업스쿨반 성황리 종료

입력 2014-08-11 10: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국 순회교육 내년 초 확대, 개편

전력거래소는 지난 6일 제주교육을 끝으로 서울, 부산 등 전국 5개 도시에서 진행한 ‘신재생에너지 창업스쿨반’ 과정의 금년도 교육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본 교육은 신재생에너지 관련 창업을 준비하는 국민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무상교육으로서, 5개월에 걸쳐 서울, 천안, 광주, 부산, 제주도지역에서 진행되었으며, 지금까지 총 341명이 교육을 수료했다.

전력거래소 국제전력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한 이번 과정은 전력거래 및 REC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거래제도를 운영해 온 전력거래소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창업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지식과 도움을 주기 위해 개설됐다.

이번 과정은 서울에서 첫 교육을 시행한 이 후 신재생에너지관련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과 호응을 받으며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됐다.

신재생에너지 창업스쿨반은 1일 과정으로서 신재생에너지사업의 개론부터 세부적인 사업성 분석, 사업 절차 등 총 5개 강의주제를 이루어져 있으, 일반인들의 신재생에너지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로 평가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도에 비해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는 점이 창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었는데, 본 교육을 통해 전력거래소 실무자들과 신재생에너지학과 교수가 강의를 맡아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궁금증을 풀어줌으로써 이러한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었다.

아울러 전력거래소는 이번 교육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이용활성화 촉진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일자리 창출 등 정부 3.0 정책 구현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2015년도에는 동일한 과정을 확대, 개편하여 더 많은 국민들이 더 전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정보공개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부 3.0의 취지를 적극적으로 살려나갈 계획이다.

교육과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전력거래소 국제전력교육지원센터(02-3456-6573)로 문의하거나 국제전력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http://epems.kpx.or.kr)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망사고까지…싱크홀, 도대체 왜 발생하는 걸까? [해시태그]
  • 퇴직자·임직원 짜고 882억 부당대출…은행 대형비리 또 터졌다
  • '위기 속 빛난 이순신 리더십' 韓 기업 최초 2기 백악관 뚫은 정의선
  • 성장이냐 상품화냐…'언더피프틴'이 던진 물음표 [이슈크래커]
  • ‘1주년’ 맞은 아일릿 “힘든 일 많았지만, 함께여서 버틸 수 있었죠” [일문일답]
  • 영남권 중심으로 거세게 이어지는 산불…종합 피해 상황은? [이슈크래커]
  • 코인 묵히면서 벌자…파이 늘리고 싶은데 '파밍' 참여 망설였다면 [코인가이드]
  • "방송만 잘하는 게 아니네"…예능계 대표 MC 신동엽이 사는 '아크로리버파크'는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519,000
    • -0.17%
    • 이더리움
    • 3,052,000
    • -0.75%
    • 비트코인 캐시
    • 494,400
    • +0%
    • 리플
    • 3,613
    • -0.44%
    • 솔라나
    • 213,600
    • +1.91%
    • 에이다
    • 1,101
    • +1.38%
    • 이오스
    • 849
    • +0.83%
    • 트론
    • 336
    • -0.59%
    • 스텔라루멘
    • 429
    • +0.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850
    • +0.58%
    • 체인링크
    • 22,820
    • +2.1%
    • 샌드박스
    • 452
    • +2.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