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종완, 왜 자살 택했나?

입력 2012-09-16 16: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뉴시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우종완(46)의 자살 원인에 누리꾼의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우종완은 15일 저녁 서울 용산구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 조사 결과 사인은 자살로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유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자살 원인에 대해 갖가지 추측이 오가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생활고에 무게를 두고 있다.

우종완은 2009년 케이블 채널 스토리온 ‘토크&시티3’에 출연하며 얼굴을 알리기 시작했다. ‘토크&시티3’ 출연 당시 탁월한 예능감과 폭 넓은 연예계 인맥으로 각종 패션 관련 프로그램을 섭렵했다.

특히 2009년 MBC ‘무한도전-도전 슈퍼모델 코리아’ 특집 편에 출연해 멤버들이 디자인한 의상을 평가하면서 대중에게 각인된 그는 2010년 ‘무한도전 달력특집’에도 함께하며 인기를 얻었다. 2010년 스토리온 ‘토크&시티4’와 ‘도전 슈퍼모델 코리아1’ 패션엔 ‘스타일 배틀로얄 TOP CEO’와 ‘스타일 배틀로얄 TOP CEO2’에 연속해서 출연하며 패션계 대표 방송인으로 자리 잡았다. 2011년에는 패션엔 ‘우종완 강수정의 소원을 말해봐’ 스토리온 ‘토크&시티5’ KBS 2TV‘생방송 금요와이드’ tvN ‘부자의 탄생’ 등에 출연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 올해는 스토리온 ‘토크&시티’ 출연 중이었으나 뺑소니 사건으로 프로그램에서 하차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15일 서울 대치동에서 자신의 아우디 승용차를 운전하던 중 택시를 들이 받고 도주한 혐의로 기소돼 지난 3월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장기 출연중이던 프로그램에서도 하차한 후 두문분출 했다. 당시 누리꾼들의 악플로 마음고생이 심했다는 게 측근들의 전언이다. 설상가상으로 자신이 운영 중이던 디렉터우닷컴의 실적부진과 폐업으로 생활고에 시달려 온 것으로 알려졌으나 확인된 바는 없다.

한편, 서울 한남동 순천향병원에 마련된 고인의 빈소에는 패션-방송계 지인들의 조문이 이어지고 있다. 3일장을 치른 후 18일 오전 발인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용태 "김건희 여사 문제 사과…영부인 검증하겠다”
  • LG 트윈스와 손잡은 유플러스, ‘일상의틈’으로 프로야구 팬덤 공략 [가보니]
  • 2025년은 축구계 성불의 해? 유럽대회 결승 앞둔 손흥민, PSG의 운명은… [이슈크래커]
  • 일감은 산더미인데 ‘일손’이 없다 [장인 없는 제조강국上]
  • ‘2025 스타벅스 여름 e-프리퀀시’, 재빠른 수령 방법은? [그래픽 스토리]
  • '호텔경제학'=짐바브웨...'셰셰'는? [그 공약, 안 사요]
  • "이게 연프야, 서바이벌이야?"…'데블스 플랜2'가 놓친 본질 [이슈크래커]
  • 단독 “유광열 하이엠솔루텍 대표, 중동 찾았다”…LG전자, ‘글로벌 사우스’ 공략 박차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1,140,000
    • +0.56%
    • 이더리움
    • 3,502,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561,500
    • +1.26%
    • 리플
    • 3,314
    • -0.18%
    • 솔라나
    • 237,300
    • +0.13%
    • 에이다
    • 1,057
    • +0.57%
    • 이오스
    • 1,035
    • -6.67%
    • 트론
    • 372
    • -2.11%
    • 스텔라루멘
    • 403
    • -0.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700
    • +1.1%
    • 체인링크
    • 21,990
    • -0.68%
    • 샌드박스
    • 440
    • -0.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