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전략] 관세 불확실성 지속에 국내 시장금리 단기 하방 압력

입력 2025-04-30 08: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0일 채권전문가들은 관세정책 관련 불확실한 환경 지속으로 국내 시장금리 단기구간은 하방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미국 국채시장은 수급 우려가 2분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큼에 따라 시장금리 상승 변동성 분출에 대한 부담 역시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수연 한양증권 연구원 = 관세정책 관련 불확실한 환경의 ‘지속 기간’과 ‘최종 관세율’, 미·중 무역분쟁의 심화 정도에 따라 국내 성장 전망에 대한 보수적 자세는 지속할 전망이다. 4월 관세 부과 이후 해당 영향이 일부 반영돼 발표될 미국 실물 경제 지표 결과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시장금리 단기구간은 하방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며, 중장기 구간은 추가 추경 진행 속도와 강도에 관련한 뉴스 흐름에 따라 연동될 것으로 판단한다.

미국은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발표를 시작으로 5월에는 4월 관세 도입으로 인한 일부 영향이 반영된 경제 실물지표가 발표 예정이다.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전망이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이번 관세 정책이 완전히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지 않는다면 어떤 내용으로 마무리된다 하더라도 관련한 크고 작은 부작용을 예상한다. 최근 은행들에 대한 규제 완화 움직임(레버리지비율, 스트레스 테스트)과 더불어 금리 하락을 견인할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 = 미국 국채시장에서의 수급 우려가 2분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 상승 변동성 분출에 대한 부담 역시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다.

최근 미국 국채금리와 장기금리의 급격한 상승 및 변동성 확대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이후 촉발된 정책 불신에 따른 것으로 본다. 또 더 직접적인 시장금리 상승의 원인으로 관세 논란에 기인한 국채 수급 부담을 지목한다.

정책에 대한 신뢰도 저하 및 수급 부담으로 시장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최근 미국 재무부가 밝힌 2분기 이후 자금조달계획 역시도 채권시장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용률 하락하는데 실업률은 상승⋯청년 고용난 심화
  • 톰형의 30년 세월 녹아있는 미션 임파서블…그 마지막 이야기 [시네마천국]
  • "곡성으로 만발한 장미 보러 가세요"…문학 고장 옥천서 열리는 지용제 [주말N축제]
  • 간접적으로 직업 체험 해볼까…현실감 있는 직업 체험 게임 5선 [딥인더게임]
  • '환불 불가' 헬스장 분쟁 급증...소비자원 "장기·고액 계약 주의"
  • 이번 주말, 한강서 스트레스 날릴까...행사 풍성
  • 직원들 피켓팅 들고 일어난다…네이버에 일어난 일
  • 치매 원인 ‘알츠하이머병’, 초기 관리가 관건[e건강~쏙]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580,000
    • +0.04%
    • 이더리움
    • 3,500,000
    • -3.18%
    • 비트코인 캐시
    • 552,000
    • -1.43%
    • 리플
    • 3,320
    • -1.72%
    • 솔라나
    • 234,600
    • -1.18%
    • 에이다
    • 1,047
    • -2.6%
    • 이오스
    • 1,123
    • -5.87%
    • 트론
    • 385
    • -0.52%
    • 스텔라루멘
    • 403
    • -2.8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510
    • -3.77%
    • 체인링크
    • 21,580
    • -3.27%
    • 샌드박스
    • 423
    • -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