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여성긴급전화 1366'을 통한 폭력피해 상담 지원이 29만3000건에 달했다. 가정폭력 피해는 줄고 스토킹 및 교제폭력 상담이 증가했다.
28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4년 여성긴급전화 1366 운영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1366은 29만3000여 건의 폭력피해 상담을 지원(1일 평균 약 804건)했다. 2023년 대비 소폭(921건) 감소했다.
가정폭력 피해 상담은 14만8884건으로 직전 조사 대비 1만2000여 건 감소했으나 전체 상담의 50.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엔 스토킹과 교제폭력 피해 상담이 증가했다. 스토킹 피해 상담의 경우 1만4553건으로 전년(9017건)보다 61.4% 증가했다. 교제폭력 피해상담은 1만1338건으로 전년(9187건)보다 23.4% 증가했다.
관련 뉴스
여가부는 "스토킹처벌법 및 스토킹방지법의 시행과 함께 새로운 유형의 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가 상담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전체 상담 중 남성 비율은 6.3%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상담 유형은 가정폭력(66.2%), 디지털 성범죄(13.1%), 스토킹(12.6%)순으로 나타났다.
조용수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은 "여성긴급전화1366은 폭력피해자에 대한 초기상담과 긴급구조·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통합구조기관으로써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라며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1366을 통해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