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유형 1위는 '유포불안'…성별 따라 유형 차이 뚜렷
가해자, 채팅·일회성 만남 등 일시적 관계가 가장 많아

지난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가 사상 처음으로 1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 수와 더불어 피해 유형도 심각해지고 있다.
10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4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지원한 피해자는 총 1만305명이다. 이는 전년 대비 14.7%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여성은 7428명으로 72.1%를 차지했다. 남성은 2877명(27.9%)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2863명, 27.8%)와 20대(5242명, 50.9%)가 전체 피해자의 78.7%인 8105명이었다. SNS 등 익명이 보장되는 플랫폼을 활발히 이용하는 연령대에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피해 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유포불안이 4358건(25.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불법촬영 4182건(24.9%), 유포 2890건(17.2%), 유포협박 2244건(1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 뉴스
특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합성·편집 피해 건수는 1384건으로 전년(423건) 대비 961건(227.2%) 증가하며 가장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해당 피해는 10대·20대가 92.6%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사이버 괴롭힘 또한 10대와 20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성별 피해 유형을 살펴보면, 여성은 유포불안(3233건)이, 남성은 불법촬영(1813건)이 가장 많았다. 유포 피해의 경우 여성이 2414건(83.5%)으로 남성 476건(16.5%)보다 5배 이상 많았다.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는 채팅상대, 일회성 만남 등 일시적 관계가 28.9%로 가장 높았다. 이어 모르는 사람 26.5%, 관계 미상 24.7%, 사회적 관계 10%, 친밀한 관계 9.7%, 가족관계 0.2% 순으로 나타났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매년 발간하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를 통해 피해 특성은 물론 지난해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을 위한 정부와 지원기관의 노력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디지털성범죄 피해를 선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대응 방안을 끊임없이 강구하여 피해자 지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여가부는 지원 기관마다 달랐던 디지털성범죄 피해 상담 접수 전화를 1366으로 일원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