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1분기 영업이익 2685억…전년 동기 대비 18.9%↑

입력 2025-04-24 11: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매출액 3조 4898억…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
클라우드 사업 성장세 돋보여…해당 사업 매출 6529억
"생성형 AI 서비스, 첼로스퀘어 중심 사업 확대할 것"

▲사옥 전경 (사진제공=삼성SDS)
▲사옥 전경 (사진제공=삼성SDS)

삼성SDS는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 2685억4500만 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8.9% 증가한 수준이다.

매출액 3조4897억64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올랐다. 당기순이익은 2176억69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상승했다.

사업 부문별로 봤을 때, 정보기술(IT) 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 증가한 1조6004억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해당 사업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3% 성장해 6529억 원을 달성했다. 최초로 IT서비스 부문 매출 비중 40%를 돌파한 셈이다.

클라우드 사업 중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CSP) 사업은 △고성능 컴퓨팅(HPC) 서비스 증가 △클라우드 네트워크 서비스 확대 △대구 민관협력형(PPP)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 확대에 따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성장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MSP) 사업은 금융 및 유통 기업 대상 클라우드 전환·구축, 글로벌 ERP, SCM 사업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했다.

물류 부문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6% 증가한 1조 8894억 원으로 집계됐다. 신규 고객 확보, 미국 상호관세 발효 전 조기 선적 수요에 따른 물동량 증가에 따른 것이다.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2% 성장한 2850억 원을 기록했다. 가입 고객은 2만200여 개사로 증가했다.

삼성SDS는 "올해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산업 환경의 어려움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클라우드 및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와 첼로스퀘어를 중심으로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기차 시대 ‘정비 기사’가 없다…차세대 제조업 병목 [장인 없는 제조강국 下]
  • LG 트윈스와 손잡은 유플러스, ‘일상의틈’으로 프로야구 팬덤 공략 [가보니]
  • 은행 주담대 충족 신용점수 ‘940점’…밀려나는 중ㆍ저신용자들
  • '골때녀' 발라드림, 구척장신에 3-1 승리⋯새 맴버 장예원 해트트릭 달성
  • ‘2025 스타벅스 여름 e-프리퀀시’, 재빠른 수령 방법은? [그래픽 스토리]
  • 손흥민 첫 우승컵, 토트넘 레전드 된 캡틴 [종합]
  • "이게 연프야, 서바이벌이야?"…'데블스 플랜2'가 놓친 본질 [이슈크래커]
  • [종합] 뉴욕증시, ‘재정적자 부담’ 감세 예산안 통과 전망에 하락…다우 1.91%↓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2 11:5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483,000
    • +2.24%
    • 이더리움
    • 3,600,000
    • +0.95%
    • 비트코인 캐시
    • 587,000
    • +5.96%
    • 리플
    • 3,339
    • +0.91%
    • 솔라나
    • 242,100
    • +2.15%
    • 에이다
    • 1,086
    • +3.72%
    • 이오스
    • 1,057
    • -3.56%
    • 트론
    • 376
    • -1.05%
    • 스텔라루멘
    • 413
    • +2.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000
    • +14.27%
    • 체인링크
    • 22,640
    • +2.26%
    • 샌드박스
    • 449
    • +2.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