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104% 관세 전쟁, 원·달러 환율 1500원까지 상승하는 악재”

입력 2025-04-09 08: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iM증권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이 "국내 원·달러 환율을 1500원 수준까지 상승시킬 악재"라고 9일 밝혔다.

미 상호관세의 부메랑은 증시 급락, 금융시장 공포 확산, 국채 금리 상승, 미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 지연 가능성 및 미-중 간 환율전쟁 리스크 등으로 가시화하고 있다.

특히 환율 전쟁이 격화하면서 원·달러 환율은 추가 상승 압력에 직면했다. 백악관은 9일부터 중국에 대해 104%의 관세율을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상호관세 맞대응 조치에 따른 또 다른 보복 조치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 중국이 트럼프 1기 당시와 달리 협상을 통해 미-중 갈등 해소에 미온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오히려 협상보다는 상호관세 정책에 강력한 맞대응하는 모습이 강화 중"이라고 했다.

이러한 상황은 위안화 약세로 이어진다. 역외 달러-위안 환율이 7.41위안까지 급등하며, 가치가 급락했다. 달러-위안 환율의 급등이 미-중 간 환율 전쟁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박 연구원은 "상호관세에 맞서 가장 효과적인 방어수단인 통화가치 하락을 들고 나오고 있는 것"이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용납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미-중 갈등이 더욱 격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중국이 위안화 약세 카드와 함께 미국 국채 매도 카드마저 사용할 수도 있다는 점은 가뜩이나 상호관세 충격에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글로벌 금융시장에 또 다른 충격을 던져줄 수도 있다"며 "글로벌 주식 등 금융시장이 조기에 안정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은 1500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상호관세 충격이 진정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위안화 가치의 급락 현상은 원화 가치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높다. 원화 가치가 달러 약세에 동조화되기보다 위안화 가치에 동조화되는 현상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당초 오는 11월에서 내년 4월로 연기되고, 국내 성장률 전망은 날로 하향세다. 박 연구원은 "미-중 환율전쟁이 더욱 격화되면서 달러-위안 환율이 추가 상승한다면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수준에 육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중갈등ㆍ관세전쟁, ‘ESG 경영’ 난관…전문가들 지속가능 전략 모색 [2025 지속성장전략 포럼]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상대방 송금계좌가 의심된다면…‘사기 의심 계좌 조회 서비스’로 확인해보자 [경제한줌]
  •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0.8% 하향 조정…“건설경기 부진 및 소비 회복 더뎌”
  • 팅커벨 출몰…2025버전 동양하루살이 전쟁 발발 [요즘, 이거]
  • "투표지 SNS에 올리면 벌금"…21대 대선 사전투표 유의사항은? [데이터클립]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입덕 계기? '고잉 세븐틴' 봤어요"…요즘 아이돌은 '자컨'으로 말한다 [엔터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697,000
    • -0.33%
    • 이더리움
    • 3,794,000
    • +3.8%
    • 비트코인 캐시
    • 587,500
    • +1.56%
    • 리플
    • 3,188
    • -0.22%
    • 솔라나
    • 239,900
    • -0.66%
    • 에이다
    • 1,045
    • +0%
    • 이오스
    • 1,040
    • -1.23%
    • 트론
    • 386
    • +0.78%
    • 스텔라루멘
    • 39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50
    • +0.69%
    • 체인링크
    • 22,040
    • -0.05%
    • 샌드박스
    • 427
    • +0.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