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관세협상 모드로 전환하면 이달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백석현 신한은행 S&T센터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외환시장 동향 및 5월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달 원·달러 환율 레인지를 1400~1450원으로 내다봤다.
백 이코노미스트는 “석 달 연속으로 월초환율이 들썩인 뒤 하락하는 흐름이 반복됐는데, 그 원흉은
아시아증시가 2일 미·중, 미·일 협상 기대감에 상승했다.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보다 378.39포인트(1.04%) 오른 3만6830.69에 장을 마감했다. 이로써 닛케이225지수는 7거래일 연속 상승 행진을 기록했는데, 이는 8거래일 연속 상승했던 2023년 9월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토픽스지수도 전일 대비 8.34포인트(0.31%)
음료업계가 가격 인상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2일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의 수입 원재료 할당관세, 수입부가가치세 면제 등을 활용하는 등 정부와 적극 소통한다는 구상이다.
국내 주요 음료제조업체를 회원사로 둔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일부 업체들의 가격 인상은 당류와 알루미늄‧페트(포장재) 등 원‧부자재 가격과 환율, 물류비와 인건
5년간 내부통제 인프라 구축 1000억 원 투입회장 3연임 시 주주총회 특별결의 절차를 신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2일 "그룹사 모두 그간 준비해온 여러 과제들을 차질 없이 마무리해 (동양생명ㆍABL생명) 자회사 편입 이후 협업 체계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미리 빈틈없이 준비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임 회장은 이날 금융위원회의 동양ㆍ
재닛 옐런 전 미국 재무부 장관이 미국의 경기 위축을 경고했다.
옐런 전 장관은 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아직 경기 침체를 예측한다고 말할 준비는 되지 않았지만, 확실히 (경기 침체) 가능성은 훨씬 커졌다"고 말했다.
그는 "수입 제품의 약 40%가 미국 국내 생산에 투입되고 있다"면서 "(관세 정책이) 미국과 소비자, 수
미국과 일본이 미국 워싱턴D.C.에서 상호관세 부과를 둘러싼 2차 협상을 진행했다. 양측은 무역 확대와 비관세 조치ㆍ경제 안보 협력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중순 이후 3차 협상도 예고했다.
1일(현지시간) 일본 공영방송 NHK에 따르면 미국을 방문한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약 2시간 동안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제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더불어민주당의 탄핵안 추진에 전격 사퇴하면서 경제 사령탑이 부재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당장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이 경제부총리 대행직을 맡게 됐지만 미국의 관세 압박, 대외신인도 사수에 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2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전날 밤 최 전 부총리의 사임안이 재가되면서 김범
유업계 1위 서울우유협동조합(서울우유)은 흰 우유를 제외한 자사 제품 가격을 이달 1일부터 평균 7.5% 인상했다고 2일 밝혔다.
대상 품목은 가공유(23개), 발효유(4개), 주스류(3개), 버터(2개), 생크림(3개), 연유(1개), 치즈류(18개) 등 총 54개다.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흰 우유 제품은 제외했다.
서
4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1%를 기록하며 넉 달 연속 2%대를 이어갔다.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전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8(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1.6%)부터 12월(
한국은행이 물가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김웅 부총재보는 2일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물가가 대체로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미국 관세정책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된 만큼 5월 경제전망 시 향후 물가전망 경로를 면밀히 점검하여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2.1% 올랐다. 전월과 같은 수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이 국정 운영을 맡는 초유의 사태가 현실화됐다.
애초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대선 출마를 위해 사의를 표명하면서 2일 0시부터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권한대행을 이어서 맡을 예정이었다. 앞서 최 부총리는 지난해 12월 27일 국회에서 한 대행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직후부터 헌법재판소가 소
탄핵안 상정 최상목 경제부총리 사의 표명산업부 "정치적 상황에도 한미 실무 협의 차질 없이 진행"
트럼프의 무차별 관세 폭격에 대응하기 위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시작 단계부터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한국 측 핵심 협상 당사자인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사의를 표명하면서 향후 협의의 연속성과 일관성에 대한 우려가 크다. 다만 통상당국은 정치적 상황과는 별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3대 신성장동력 중심 사업 재편도 추진
LG화학이 석유화학 사업의 적자 축소, 고부가 제품 매출 확대 등에 힘입어 직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양극재 공장의 조기 가동을 검토하는 한편,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도 속도를 낸다.
LG화학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2조171
영업이익 3000% 증가한 한화에어로…“하반기까지 실적 좋을 것”KAI는 소폭 하락, 하반기 개선 기대현대로템, LIG넥스원 곧 실적 발표
미중 관세 전쟁으로 국내 산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K-방산’은 예외다. 전세계 국가들이 앞다퉈 방위비를 늘리며 방산 기업들이 순풍을 타고 있다.
30일 K-방산 맏형 격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1분기 실적을
넥센타이어는 올해 1분기 매출액 7712억 원, 영업이익 407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은 13.7% 증가하며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경신했다. 영업이익은 2.0% 줄었다.
넥센타이어는 증설을 통한 판매량 확대와 18인치 이상 고인치 등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유럽 2공장 가동
지상방산 수출 증가, 한화오션 편입 효과"4분기 향하며 계속 이익 성장 예상""탄약 밸류체인 투자 검토 중"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지상방산 수출 증가와 한화오션의 자회사 편입 영향이다. 하반기에는 내수 매출이 증가할 계획이라, 연말로 갈수록 실적이 점점 더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현대글로비스는 1분기 매출액 7조2234억 원, 영업이익 5019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9.7%, 30.4% 증가한 규모다. 영업이익률은 6.9%를 나타냈다.
물류, 해운, 유통 등 회사 전체 사업에서 준수한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수익성 위주 사업에 집중한 결과로 올 1분기 역대 최대 분기 영업이익이라는 양호
원·달러 환율이 1430원대 초반에서 등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민경원 우리은행 선임연구원은 30일 “위험선호 심리 회복과 수출업체 네고 물량을 소화하면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 등락 범위를 1428~1437원으로 내다봤다.
민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련 완화책을 내놓은 가운데 무역 분쟁이 최악의 국
무협, ‘수출기업 금융 애로’ 조사 결과 발표수출기업 500개사 대상 자금 사정 조사응답 기업 46.7% “전 분기 대비 자금 사정 악화”기업 체감 대출금리 경감 위한 정책지원 필요
최근 급격한 환율 상승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수출기업 절반가량의 자금 사정이 전 분기보다 악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의 수출
트럼프 2기 출범 후 100일이 지났다. 트럼프는 파격적인 관세 정책을 비롯한 ‘미국 우선주의’ 정책의 파급력으로 세계를 거대한 실험실로 만들었다. 출렁이는 금융시장에 손해를 본 투자자들, 관세 위험에 촉각을 곤두세운 기업 관계자들처럼 통상 분야에 집중하는 연구자들에게도 악몽 같은 100일이었다. 직접적인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해외 패키징 공장에서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