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제공기관 68곳으로…"품질향상·수요확대 견인"

입력 2023-11-03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용부, 정부 인증기관 대상 현판 수여식 개최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제공기관 현판 시안. (자료=고용노동부)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제공기관 현판 시안. (자료=고용노동부)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제공기관이 도입 1년 5개월여 만에 68곳으로 늘었다. 고용노동부는 서비스 품질 향상과 수요 확대를 견인해 정부 인증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고용부는 3일 서울 중구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이성희 차관 주재로 정부 인증기관 대상 현판 수여식을 개최했다.

고용부에 따르면,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가사관리사 근로조건 보호를 목적으로 지난해 6월 도입됐다. 현재 정부 인증기관은 68곳이다. 이들 기관에는 550여 명의 가사관리사가 고용돼 있다. 이 차관은 “그동안 정부 인증이 빠르지는 않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희망을 보고 있다”며 “특히 MZ 세대(밀레니얼 세대와 Z 세대의 통칭) 확대, 여성 경제활동 증가 등으로 1인 가정과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고,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돌봄 시장이 커지면서 양질의 가사서비스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이 차관은 정부가 추진 중인 가사서비스 관련 정책들도 소개했다.

먼저 품질 경쟁력 향상을 위해 투명한 요금 공개와 고객 비밀보호 등으로 신뢰를 구축하고, 가사관리사 직무훈련을 집중 추진한다. 가사서비스지원센터에서 무료 훈련과정을 운영하고, 요리·정리수납·돌봄·산후조리 등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과정에 훈련비를 100% 지원한다.

서비스 수요 확대를 위해서는 관계부처,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조를 강화한다. 복보건지부와 지자체는 가사서비스 지원사업에 정부인증기관을 사업 수행기관으로 우선 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행정안전부는 지자체의 실적을 ‘지자체 합동평가지표’에 반영하기로 했다. 민간기업 현대이지웰도 간담회에 참석해 복지몰 입점 절차와 혜택을 안내하고, 사내 워킹맘들을 대상으로 정부인증 서비스 이용비용 50% 지원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차관은 “이러한 정부의 노력과 인증기업들의 도전정신, 그리고 관계부처‧지자체‧민간기업 등의 협조 속에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는 점진적으로 자리를 잡아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08,000
    • +0.93%
    • 이더리움
    • 4,993,000
    • +4.22%
    • 비트코인 캐시
    • 547,000
    • +2.82%
    • 리플
    • 698
    • +3.41%
    • 솔라나
    • 192,300
    • +4.17%
    • 에이다
    • 545
    • +4.41%
    • 이오스
    • 808
    • +6.04%
    • 트론
    • 164
    • +1.23%
    • 스텔라루멘
    • 132
    • +3.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600
    • +5.74%
    • 체인링크
    • 20,330
    • +6.61%
    • 샌드박스
    • 456
    • +6.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