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윤홍빈 “이태원 참사, 눈앞에서 겪어…직접 CPR 했지만 살리지 못해”

입력 2022-10-30 1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윤홍빈 인스타그램)
▲(출처=윤홍빈 인스타그램)

배우 윤홍빈이 2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발생한 대규모 압사 사고 현장에 있었다며 당시 상황을 전했다.

윤홍빈은 30일 인스타그램에 게재한 장문의 글에서 “참사는 함께 아파하고 애도해야 할 사건”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윤홍빈은 “태어나서 처음으로 핼러윈 이태원을 즐겨보자는 생각에 이태원을 갔고 참사를 눈앞에서 겪었던 어제”라며 “메인 거리는 그야말로 카오스였고, 여자친구와 거리를 떠밀려 다니며 위험하다는 말을 수십 번은 했던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밀지 말라는 고성과 밀라는 고성이 뒤섞였다. 경찰들은 큰 대로변에만 배치돼 있었고, 세계음식거리에는 경찰들 없이 사람들이 무질서하게 뒤섞여 있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밖에 나가자 사람들이 한두 명 실려 나가기 시작했다. 보자마자 압사 사고를 예측할 수밖에 없었다”며 “점점 많은 사람이 실려 나가고 더 이상 구급차로 실을 수가 없어서 골목에 사람들을 내려놓고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하고 있었다. 저도 바로 달려가서 CPR를 실시했다. 골목에서 수십 명이 동시에 CPR를 실시하며 ‘제발 눈 떠’라는 말이 사방에서 들려왔다. 제가 CPR를 실시하던 거리에서 의식이 돌아온 사람은 단 한 명밖에 없었다. 제가 살리려 노력했던 분도 결국 살리지 못했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이 참사는 전조 증상이 충분히 있었고 예방할 수 있었던 참사”라며 “‘우측 통행을 할 수 있도록 가운데 경찰분들이 서 있기라도 했더라면’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많은 경찰 공무원분들이 너무나 힘들고 고생한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기에, 그저 배치를 잘못한 사실로 참사를 막지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제발 모두가 두 번 다시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없도록 뼈저리게 노력했으면 좋겠다”며 “원인을 밝히고 반복되지 않는 거에만 초점을 맞추기를 바란다. 본질을 흐리는 논의는 없었으면 좋겠기에 글을 쓰게 됐다”고 덧붙였다.

앞서 핼러윈을 앞둔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 인파가 몰리며 대규모 압사 사건이 벌어졌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번 사고로 30일 오후 4시 30분 기준 사망자 153명, 부상자 103명 등 총 25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장률 0%대 되나”…한은, '1.5%→?' 수정경제전망 주목
  • 엔비디아, 중국시장 절대 못 놓아…수출용 새 저가 칩 양산 착수
  • 홍준표 “이준석에 대한 투표, ‘사표’ 아니라 ‘미래 투자’”
  • AI 반등에 사활 건 카카오… ‘카나나’ 시험대 위로
  • 마약류 감정 6년간 3배 증가⋯압수품 3분의 1은 '신종마약'
  • 신유빈-유한나, 세계탁구선수권대회 4강서 아쉬운 패배…동메달 목에 걸었다
  • 청년 유입 없고 외국인 가득한 현장에 머리 아픈 건설업계
  • ‘런치플레이션’에 급식 시장 호조...업계 수익성은 희비교차, 왜?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118,000
    • -1.22%
    • 이더리움
    • 3,500,000
    • -1.82%
    • 비트코인 캐시
    • 573,000
    • -3.78%
    • 리플
    • 3,190
    • -2.71%
    • 솔라나
    • 238,200
    • -3.13%
    • 에이다
    • 1,031
    • -2.46%
    • 이오스
    • 1,027
    • +0.49%
    • 트론
    • 380
    • +0.26%
    • 스텔라루멘
    • 391
    • -2.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150
    • -3.28%
    • 체인링크
    • 20,960
    • -3.85%
    • 샌드박스
    • 415
    • -4.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