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1년 350일 이상 쉴 새 없이 돌아가는 코오롱플라스틱 김천 공장

입력 2016-04-28 10:18 수정 2016-04-28 14: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오롱플라스틱 김천공장 전경 (사진제공=코오롱 )
▲코오롱플라스틱 김천공장 전경 (사진제공=코오롱 )

제법 많은 양의 봄비가 내린 27일 코오롱플라스틱 김천 공장을 방문했다. 하얀색 안전모와 고글, 장갑을 착용 후 공장 가까이 다가서니 빗소리를 뚫는 기계 소음과 특유의 플라스틱 냄새가 코끝을 맴돌았다.

공장 내부는 수많은 파이프가 연결된 기계들이 즐비했고, 모든 기계들은 저마다 소음을 내며 분주히 작동 중이었다. 공장의 한 직원은 좁쌀 같은 작은 알갱이가 가득 담긴 망을 보여줬다. 백색 쌀알 형태의 알갱이가 바로 이 공장에서 생산하는 POM이었다.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기기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쓰이는 POM은 쇠랑 비슷한 물성으로 자동차 경량화에 꼭 필요한 제품이다. 현재 세계 총수요는 110만톤이며 수요의 42%가 자동차의 주요 부품소재로 쓰이고 있다.

현재 코오롱 김천 사업장에서는 2만8000평의 부지에 KPA-1과 KPA-2 공장이 각각 2006년과 2011년에 지어져 POM을 생산 중이다. 두 공장은 연 8만톤의 POM 베이스 레진을 생산하고 있다.

코오롱플라스틱에서 생산되는 POM 베이스 레진은 ‘메탄올-포르말린-트리옥산-중합안정화’ 등 총 5단계를 거쳐 탄생되며, 제품까지는 총 15단계 연속공정이 이뤄진다. 코오롱바스프이노폼 방민수 이사는 “메틸알코올로 포르말린을 만들고 이를 통해 트리옥산이라는 중간체를 만들어 중합하고 안정화를 시키면 POM이 탄생된다”고 설명했다.

▲종합과정을 끝낸 POM의 모습. (사진=오예린 기자 yerin2837@ )
▲종합과정을 끝낸 POM의 모습. (사진=오예린 기자 yerin2837@ )

현재 KPA-1과 KPA-2 공장을 둘러싼 파이프의 전체 다 연결하면 약 2km가 된다. 이 파이프의 시작과 끝이 1년 350일 이상 안정적으로 운전되지 않으면 막히게 되기 때문에 KPA-1과 KPA-2 공장의 기계들은 밤낮없이 분주히 작동하고 있다. 코오롱플라스틱은 고효율 프로세스와 높은 완성도를 입증받아 코오롱바스프이노폼에 1000만 달러(한화 115억원) 규모의 POM제조 프로세스 기술을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KPA-1과 KPA-2 공장 옆 3만평 부지에는 2018년 코오롱플라스틱과 바스프가 합작한 POM 생산 공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새 공장은 연 7만톤의 POM이 생산되며, 코오롱바스프이노폼은 세계 최대 규모인 연 15만톤의 POM을 생산하게 된다.

방 이사는 “공장이 완공된 후 10년간 누적 매출액은 약 1조원이 될 것”이라며 “주주가 100% 판매 가능한 안정적인 사업구조로 이뤄지며 경제적 가치는 향후 10년간 약 1.4조원이 될 것”이라고 신설 공장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했다.

이날 코오롱플라스틱과 바스프가 공동으로 설립한 합작사 코오롱바스프이노폼은 POM생산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2018년 완공 예정인 신축 공장에는 기존 공장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과 독일 바스프 본사의 안전 및 환경관리 기준이 도입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연준, 기준금리 7회 연속 동결…올해 금리 인하 횟수 3→1회로 줄여
  • 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 권도형, '테라사태' 6조 원대 벌금 낸다…美 당국과 합의
  • SM, '매출 10% 못 주겠다'는 첸백시에 계약 이행 소송…"법과 원칙대로"
  • 주식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후 내년 3월 31일 재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65,000
    • +0.18%
    • 이더리움
    • 4,937,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629,000
    • +0.24%
    • 리플
    • 685
    • +0.74%
    • 솔라나
    • 213,800
    • +0.19%
    • 에이다
    • 608
    • +1.33%
    • 이오스
    • 971
    • +0%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40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250
    • +1.31%
    • 체인링크
    • 21,790
    • +1.02%
    • 샌드박스
    • 565
    • +1.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