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저명 역사학자 187명, 日 역사문제 인정 촉구 집단성명 발표

입력 2015-05-06 14: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 2월에도 美 사학자 20명의 집단성명 내 논바 있어

세계적인 역사학자들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지 말고 정면으로 인정하라고 촉구하는 집단성명을 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성명 발표는 지난 2월5일 미국 사학자 20명의 집단성명 발표에 이어진 것으로 세계 역사학계의 대규모 집단적 의사표시라는 점에서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성명 발표에는 퓰리처상을 받은 허버트 빅스(미국 빙엄턴대학) 디어도어쿡·하루코 다야(미국 윌리엄 패터슨 대학), 존 다우어(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 등을 비롯해 에즈라 보겔(하버드대), 브루스 커밍스(시카고대), 피터 두스(스탠포드대) 등 미국, 유럽 호주 등지에서 활동 중인 일본학 전공 역사학자 187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하는 공개서한’이라는 제목의 집단성명을 연합뉴스를 통해 공개하고 외교 경로를 통해 아베 총리에게도 직접 전달했다.

성명에는 “일본 연구자들은 아시아에서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해 정확하고 공정한 역사를 추구하는 일본의 용기있는 역사학자들과의 연대를 표한다”고 전했다.

이들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가장 첨예한 과거사 문제라고 지적하며 “위안부 피해국에서 피해자들의 고통을 민족주의적 목적 때문에 악용하는 일은 국제적인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피해 여성의 존엄을 더욱 모독하는 일이지만 있었던 일을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일 또한 똑같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아베 정권이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동원한 사실을 부정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일부 역사가들이 제국주의 일본군이 얼마나 관여했는지, 여성이 ‘위안부’ 노릇을 하도록 강요 받았는지에 대해 다른 주장을 내놓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수많은 여성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붙잡혔고 끔찍한 야만행위의 제물이 됐다는 증거는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올해는 일본 정부가 말과 행동을 통해 식민 지배와 전시 침략 행위를 다룸으로써 일본의 지도력을 보일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난달 방미기간 아베 총리가 미국 의회에서 한 합동연설을 언급하며 아베 총리의 명확한 사과를 촉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김홍국의 아픈 손가락 하림산업, 6월 ‘논현동 하림타워’ 소집령 발동
  • 마운트곡스發 비트코인 14억 개 이동…매도 압력에 비트코인 ‘후퇴’
  • '최강야구' 니퍼트도 눈치 보는 김성근 감독?…"그가 화가 났다고 생각합니까?"
  • 나스닥 고공행진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밈코인은 게임스탑 질주에 '나 홀로 상승' [Bit코인]
  • 전세사기 특별법 공방은 예고편?…22대 국회 ‘부동산 입법’ 전망도 안갯속
  • 반도체 위기인데 사상 첫 노조 파업…삼성전자, 경영 악화 심화하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027,000
    • -1.2%
    • 이더리움
    • 5,281,000
    • -2.64%
    • 비트코인 캐시
    • 652,500
    • -0.68%
    • 리플
    • 733
    • -0.54%
    • 솔라나
    • 235,000
    • +0.04%
    • 에이다
    • 641
    • +0.16%
    • 이오스
    • 1,133
    • +0.44%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50
    • -0.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100
    • -0.29%
    • 체인링크
    • 25,830
    • +2.58%
    • 샌드박스
    • 634
    • +1.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