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세권개발 보상안 결렬 왜?

입력 2012-08-16 09: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의 최대 관건인 서부이촌동 보상안이 결렬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사업비 마련을 위한 전환사채 발행 조건을 놓고 시행사인 드림허브 주주간 마찾을 빚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제3자 배정에 따른 전환사채 발행은 드림허브의 지배구조까지 뒤집어 놓을 수 있어 출자사간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드림허브의 최대주주인 코레일은 지난해 랜드마크 빌딩 선매수하면서 당시 조건으로 4000억원 유상증자를 내걸었다. 자신들이 선투자하는 만큼 주주들도 일부 비용 부담을 가져야가한다는 코레일의 논리가 반영된 셈이다. 하지만 지난해 전환사채 발행을 통한 유상증자에 주주로는 코레일, 삼성물산, 롯데관광개발만 참여했다. 유상증자 금액도 1500억원에 그쳤다.

이런 가운데 드림허브가 서부이촌동 보상비 등 자금마련을 위해 나머지 2500억원에 대한 유상증자를 추진했으나 이 마저도 최근 이사회에서 주주간 이견으로 무산된 것. 이와 관련, 무산 배경이 드림허브 지배구조와 관련이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주식으로 전환이 가능한 전환사채에 따른 유상증자의 경우 주주의 자금력에 따라 지배구도가 확 바뀔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데 자본금의 1%만 유상증자해도 롯데관광개발은 2대주주 자리를 빼앗길 위기에 몰릴 가능성도 있게 된다. 특히 건설사들의 경우 주주 이외 건설사들이 참여하면 건설 투자자들은 시공권을 나눠먹기해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전환사채 발행에 따른 유상증자를 일부 주주들이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되고 있다.

한 건설투자사 관계자는 “시공권을 보고 지분 투자를 했는데 시공권을 나눠먹기를 하라면 누가 더 투자하겠느냐”며 “게다가 최근 업계 사정이 좋지 않아 유상증자에 참여할 건설사도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연준, 기준금리 7회 연속 동결…올해 금리 인하 횟수 3→1회로 줄여
  • 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 권도형, '테라사태' 6조 원대 벌금 낸다…美 당국과 합의
  • SM, '매출 10% 못 주겠다'는 첸백시에 계약 이행 소송…"법과 원칙대로"
  • 주식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후 내년 3월 31일 재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79,000
    • +0.26%
    • 이더리움
    • 4,940,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629,000
    • +0.24%
    • 리플
    • 686
    • +1.18%
    • 솔라나
    • 214,200
    • +0.28%
    • 에이다
    • 608
    • +1.5%
    • 이오스
    • 971
    • +0%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40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100
    • +1.11%
    • 체인링크
    • 21,820
    • +0.79%
    • 샌드박스
    • 565
    • +0.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