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민관협력 지원 플랫폼, 민간과 협업해 사회 현안 해결 지원 기능 강화"

입력 2025-04-2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과학기술)
(사진제공=과학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간과 공공이 협력해 사회문제는 물론 국가적 위기 상황에도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민관협력 지원 플랫폼(digitalsolveup.kr)’의 실행 기반을 강화하고 민간 기술과 디지털 자원을 연계해 실질적인 문제해결 사례를 지속 확산하겠다고 23일 밝혔다.

민관협력 지원 플랫폼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협업을 촉진하는 디지털 기반 플랫폼으로 민간 클라우드, 데이터, 개발도구, 협업 환경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 플랫폼을 통해 추진된 대표 성과사례로는 △홍수 발생 시 내비게이션을 통해 침수 위험구간을 실시간 안내하는 ‘홍수위험 알림 서비스’ △의약품 수급 문제를 해결을 위한 ‘스마트 교품 서비스’ △빈대 확산 대응을 위한 ‘빈대 지도’ 개발 등이 있다.

이러한 성과는 기술개발-실증과 같이 기존의 정부 사회현안 해결 방식이 아닌 민간의 첨단 기술과 정부가 보유한 데이터를 결합한 새로운 방식으로서민관 협업 모델이 실제 국민의 삶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올해에는 민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API, SDK 등)를 플랫폼에 직접 연계함으로써 사회문제 해결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카카오모빌리티와 협업을 통해 길찾기 API(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5종 및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SDK) 등이 플랫폼을 통해 제공된다. 이는 배달, 세탁, 전기차 충전소, 가까운 주유소 찾기 등 다양한 교통 관련 서비스에서 활용되고 있다.

플랫폼 사용자(시민개발자, 스타트업 등)는 23일부터 플랫폼 내 신청 버튼을 통해 간편하게 인증을 받고 활용할 수 있다. 연계된 기술은 교통약자 지원, 응급상황 대응 등 공공 분야의 실질적인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API는 카카오모빌리티 디벨로퍼스 홈페이지 대비 약 2배의 무료 호출 건수가 제공되며 이는 사회현안 해결을 위해 민간 서비스(API 등)를 사용하는 스타트업, 시민개발자들이 실제 서비스 구현 시 발생하는 이용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우리나라 이동 서비스 관련 대표 회사로서 자사의 기술을 사회문제 해결에 활용하도록 하는 사회적 책무를 느끼고, 회사가 보유한 교통 관련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동 플랫폼에 제공하기로 하였다고 협업 배경을 밝혔다.

과기정통부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은 “민관협력 지원 플랫폼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사회현안 문제를 민간과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창구”라며 “앞으로 더 많은 기업과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민관 협업 모델을 확장함으로써 국민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혁신 사례를 지속 확산하고, 민간의 기술 역량이 사회적 가치 실현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합] 새 교황으로 중도파 레오 14세 선출⋯사상 첫 미국 출신
  • “국채보다 회사채”…고금리로 몰려간 채권개미
  • 관세 전 수요 끝물…미국 車 판매 13만대 ‘뚝’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날씨] 전국 비 소식…수도권 최대 40㎜·남부 최대 80㎜ 예보
  • 주말 전농 '트랙터 상경 시위' 예고…또 남태령 막히나?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10:2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385,000
    • +4.13%
    • 이더리움
    • 3,102,000
    • +19.81%
    • 비트코인 캐시
    • 589,500
    • +2.08%
    • 리플
    • 3,251
    • +7.15%
    • 솔라나
    • 228,700
    • +8.54%
    • 에이다
    • 1,072
    • +11.09%
    • 이오스
    • 1,191
    • +0.25%
    • 트론
    • 362
    • +2.26%
    • 스텔라루멘
    • 414
    • +10.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00
    • +5.12%
    • 체인링크
    • 22,190
    • +11.4%
    • 샌드박스
    • 446
    • +1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