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 트럼프발 경기침체 우려에 피난처로 주목

입력 2025-04-07 1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년ㆍ10년물 작년 9월 이후 최저
경기침체 우려에 안전자산에 몰려
연준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도↑

(그래픽=이투데이)
(그래픽=이투데이)

대표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에 피난처로 주목받고 있다.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주 뉴욕 채권시장에서 2년물 금리는 3.617%, 10년물 금리는 3.944%에 마감했다. 두 국채 금리 모두 지난해 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채 금리는 가격과 반비례한다. 수요가 몰릴수록 금리는 내려간다. 연초 10년물 금리가 4.7%대까지 오르며 약세를 보이던 국채가 강세 전환한 것은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탓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와 중국 등 주변국의 보복관세로 인해 세계 경제가 침체할 것이라는 불안감에 투자자들은 자금을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서 국채로 옮기고 있다. 또 다른 안전자산인 금값이 이달 초까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달러 역시 올해 들어 주춤한 상황에서 국채가 사실상 투자자들의 버팀목이 된 셈이다.

퍼시픽자산운용의 대니얼 아이바신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우린 극심한 거시경제 불확실성 시기에 있다”며 “이번 쇼크의 본질은 수십 년간의 다른 쇼크들과 다르다. 인플레이션이 상승했고 더 상승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브루스 카스만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관세)정책이 지속한다면 올해 미국과 세계 경제는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이번 주 JP모건은 올해 세계 경기침체 가능성을 종전 40%에서 60%로 상향 조정했다.

국채 투자자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를 더 공격적으로 인하할 수 있다는 것에도 베팅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국채 금리도 따라 내리는데, 이렇게 되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아진 기존 국채에 매수세가 몰려 가격이 오를 수 있다. 이걸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미리 국채에 몰리는 상황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최근 연준 위원들이 잇따라 금리 인하 보류를 시사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달 초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소비자들은 높은 가격을 지급하는 데 지쳐있다”며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혔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역시 “관세나 다른 정책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상향 위험이 확실히 있다”며 “연준은 당분간 지금의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알파심플렉스의 캐스린 카민스키 수석 투자전략가는 “시장은 성장 둔화와 수요 파괴 가능성에 강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이는 연준이 성장 둔화를 이유로 금리를 인하할 수밖에 없는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시장은 관세 뉴스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에 익숙해지는 것 같고 현재는 국채 매수가 올바른 선택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도 “연준이 금리 조정을 서두르지 않겠다고 거듭 강조했는데도 내년까지 예정된 연준 회의와 연동된 옵션 시장에선 연내 인하 횟수가 세 차례 미만에서 거의 네 차례로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380,000
    • +3.69%
    • 이더리움
    • 2,906,000
    • +13.03%
    • 비트코인 캐시
    • 589,500
    • +15.02%
    • 리플
    • 3,172
    • +5.42%
    • 솔라나
    • 226,600
    • +9.79%
    • 에이다
    • 1,037
    • +10.2%
    • 이오스
    • 1,194
    • +8.94%
    • 트론
    • 360
    • +2.86%
    • 스텔라루멘
    • 397
    • +8.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300
    • +9.29%
    • 체인링크
    • 21,600
    • +12.5%
    • 샌드박스
    • 428
    • +12.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