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로 코로나’ 여파에 11월 경제지표 부진…소매판매, 5.9% 감소

입력 2022-12-15 16: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생산, 2.2% 증가로 예상 밑돌아
소매판매·실업률, 상하이 봉쇄 이후 최악
감염자 급증에 경제활동 더 위축 가능성

▲중국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증가율 추이. 단위 %. 검은색: GDP 성장률/ 분홍색:산업생산/ 파란색:소매판매. 출처 블룸버그
▲중국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증가율 추이. 단위 %. 검은색: GDP 성장률/ 분홍색:산업생산/ 파란색:소매판매. 출처 블룸버그
중국의 지난달 경제지표가 ‘제로 코로나’ 영향으로 크게 부진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15일 발표한 지난달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5.9% 감소해 시장 전망인 3.7% 감소보다 더 나빴으며 10월의 0.5% 감소보다 더 부진했다고 미국 CNBC방송이 보도했다.

지난달 소매판매가 크게 줄어들면서 올 들어 11월까지의 소매판매도 전년 동기 대비 0.1% 줄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통계국에 따르면 식품과 의약품만이 1년 전보다 매출이 증가했다. 의류와 신발 판매는 15.6% 급감했다.

11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2.2% 늘어 역시 전문가 예상치 3.6% 증가와 10월의 5.0% 증가를 밑돌았다.

올 들어 11월까지의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월 대비 5.3% 증가해 5.6% 늘어날 것이라는 시장 기대에 못 미쳤다.

도시 지역 실업률은 5.7%를 기록했고 16~24세 청년 실업률은 17.1%로 이보다 훨씬 높았다.

소매판매와 실업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상하이를 봉쇄했던 5월 이후 가장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정부가 이달 제로 코로나 정책을 갑자기 중단했지만, 감염이 급증하면서 경제성장에 더 많은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호주뉴질랜드뱅킹그룹(ANZ)의 레이먼드 영 중화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제로 코로나가 해제된 이후 중국이 첫 번째 감염 물결에 직면하면서 12월 상황이 개선되고 있지 않다”며 “상하이 봉쇄 해제 이후인 3분기 경제회복은 짧았다. 중국의 4분기 경제성장률이 3%를 달성할 것 같지 않다”고 비관적으로 바라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인 시황 어디서 봐?"…'애그리게이터'만 알면 한눈에 파악한다 [코인가이드]
  • ‘법정관리’ 엑시트 옵션 불과…제2, 제3의 홈플 나온다 [사모펀드의 늪]
  • 올봄 한국인 여행객이 사랑한 인기 여행지는 또 '일본' [데이터클립]
  • 역린 건드린 KIA 홍종표…야유보다 무서운 無응원 [해시태그]
  • "골프는 원래 정장 입고 하는 스포츠?" [골프더보기]
  • 에너지 취약계층이라면…산업부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신청해볼까 [경제한줌]
  • BTS가 불 붙이고, 제니가 방점 찍었다?…'콘서트 가격 논란'의 본질 [이슈크래커]
  • 故 김새론 측 "김수현 소속사, 2차 증명서까지 보내…SNS 사진 게재까지 막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3.17 장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