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SNS 계정 막았더니...허위정보 73% 급감”

입력 2021-01-17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그널랩스 분석 결과, 허위 정보 250만건→66만8000건으로 감소
의사당 난동 사태와 관련된 해시태크도 크게 줄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이 영구 정지된 모습.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이 영구 정지된 모습.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이 영구 정지된 후 소셜미디어에서 대선과 관련한 허위 정보가 73% 급감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소셜미디어 분석기업 ‘지그널랩스’가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이 정지된 다음 날인 9일부터 15일까지 집계한 결과 선거사기를 주장하는 소셜미디어상의 허위정보가 7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여러 소셜미디어 플랫폼 전반에서 허위정보가 트럼프 계정이 정지되기 직전 일주일간의 250만 건에서 66만8000건으로 줄었다는 것이다.

지그널랩스는 지난 6일 5명의 사망자를 낸 트럼프 지지 시위대의 의회 난동 사태와 관련된 해시태그 사용도 크게 줄었다고 분석했다. 일례로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 널리 사용되던 ‘트럼프를 위한 싸움’(#FightforTrump) 해시태그 멘션과 ‘물러서지 마라’(#HoldTheLine) 해시태그 멘션이 각각 95.5%, 94.3% 감소했다.

지난 6일 시위대의 의회 난입 사건 이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냅챗, 유튜브등 주요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잇달아 정지시켰다. 트위터는 트럼프 대통령 계정과 함께 극우 음모론 단체 ‘큐어넌’(QAnon)과 관련 있는 계정 7만여 개도 정지시켰다. 대선 전 한 연구기관은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해 겨우 20개의 친트럼프 트위터 계정이 투표에 관해 오도하는 내용의 리트윗 중 5분의 1에 해당하는 원천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지난해 대선은 ‘조작된 선거’라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이에 대해 윌리엄 바 전 법무장관은 선거 조작설에 근거가 없다고 이를 부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시간 벌고 보자” 해외부동산 펀드 잇단 만기 연장 [당신이 투자한 해외 부동산 안녕하십니까]①
  • K-제약바이오, 미국임상종양학회 출격…항암 신약 임상결과 공개
  • '복면가왕'에 소환된 배우 김수현?…"아버지가 왜 거기서 나와?"
  • [웰컴 투 코리아] ① ‘선택’ 아닌 ‘필수’ 된 이민 사회...팬데믹 극복한 경제 성장 원동력
  • [노벨상 선진국 호주上] 우주기업 130개 '기초과학' 강국…NASA 직원, 서호주로 간다
  • 수사·처벌 대신 '합의'…시간·비용 두 토끼 잡는다 [조정을 넘어 피해회복 '형사조정제도']
  • '오프리쉬' 비난받은 '짜루캠핑' 유튜버, 실종 9일 차에 짜루 찾았다
  • [찐코노미] 소름 돋는 알리·테무 공습…초저가 공략 결국 '이렇게' 된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0: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450,000
    • +0.65%
    • 이더리움
    • 4,123,000
    • +0.32%
    • 비트코인 캐시
    • 609,500
    • +0.16%
    • 리플
    • 704
    • -1.26%
    • 솔라나
    • 203,500
    • -1.02%
    • 에이다
    • 616
    • -0.48%
    • 이오스
    • 1,096
    • -0.45%
    • 트론
    • 179
    • +0%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950
    • -0.29%
    • 체인링크
    • 19,100
    • +1.22%
    • 샌드박스
    • 585
    • -1.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