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국내 최고 과학자 17명ㆍ우수연구센터 18곳 선정

입력 2020-07-01 14: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기정통부 제공)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최고 수준의 기초연구자를 지원하는 리더연구 지원대상 17명과 우수연구집단을 지원하는 우수연구센터 18곳을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개인연구 사업인 리더연구에는 자연과학분야에서 고려대 안정근 교수(별핵합성반응연구단) 등 5명, 생명과학분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임대식 교수(조직 항상성 및 재생을 위한 세포 가소성 연구) 등 4명, 기초의과학분야 서울대 정연석 교수(면역지질대사 제어연구) 등 2명이 선정됐다.

공학분야에서 서울대 박호석 교수(2차원 엘리멘터리 표면 레독스 에너지저장 연구단) 등 3명, ICT 융합분야에서 연세대 박정욱 교수(에너지 대전환 전력망 연구단) 등 3명이 선정됐다.

'리더연구'에는 1인당 연평균 8억 원씩 9년간 약 70억 원의 연구비가 지원된다. 40대 이하 연구자가 7명이 선정됐고, 기초의학 분야에서는 주영석 KAIST 교수가 30대로는 유일하게 리더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과기정통부 제공)
(과기정통부 제공)

10인 내외 우수 연구집단에 연 14~20억 원씩 7년간 지원하는 '선도연구센터'에는 76개 연구집단 중에서 성장가능성, 공동연구 수행계획의 우수성 등을 평가해 18개 센터가 선정됐다.

이학분야(SRC)에서 양자동역학의 난제인 양자 결맞음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포항공대 '양자동역학연구센터 등 5개 센터, 공학분야(ERC)에서 스마트 포장, IoT 및 바이오칩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성균관대 'R2R 인쇄 유연컴퓨터 개발연구센터 등 5개 센터가 선정됐다.

기초의과학분야(MRC)에서는 최근 신변종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알려진 폐섬유증을 연구하는 충북대 '중증폐질환 연구센터' 등 연구센터 4곳이 선정됐으며,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RLRC)에는 부산대(친환경 스마트선박), 강원대(바이오신약), 전남대(디지털 생체의료), 충남대(바이오의약 소재 및 진단) 연구센터들이 선정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이지와 비욘세, 美 대중음악 큰 손들의 '억소리' 나는 차량 컬렉션 [셀럽의카]
  • 인기게임부터 인디게임까지…볼거리 많았던 '플레이엑스포 2025' [딥인더게임]
  • "못생겼는데, 또 귀여워"…요즘 젠지가 꽂힌 인형 '3대장' [솔드아웃]
  • “왜 이렇게 진심인 건데요”…하이보이즈 음방 소환, ‘언슬전’ 세계관 과몰입 [요즘, 이거]
  • 올 여름, 최악 폭염 오나...기상청 “평년보다 더 덥다”
  •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에도…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안갯속'
  • "너 내 동료가 돼라"…'포섭력 갑' 대선주자는 [왕이 될 상인가]
  • “개인리뷰 덕에 잘 팔려요”…이커머스, 커뮤니티 관리에 올인하는 이유[유승호의 유노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676,000
    • +0.02%
    • 이더리움
    • 3,678,000
    • +0.03%
    • 비트코인 캐시
    • 610,000
    • +1.41%
    • 리플
    • 3,372
    • +0.24%
    • 솔라나
    • 255,900
    • +3.52%
    • 에이다
    • 1,123
    • +1.17%
    • 이오스
    • 1,080
    • +1.69%
    • 트론
    • 377
    • -2.58%
    • 스텔라루멘
    • 41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950
    • -0.55%
    • 체인링크
    • 23,590
    • +2.88%
    • 샌드박스
    • 465
    • +0.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