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귀하(貴下)

입력 2018-09-20 10: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요즈음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어느 방송사의 주말 드라마에서 남녀 주인공이 상대방을 칭할 때 ‘귀하’라는 말을 자주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귀하는 ‘貴下’라고 쓰며 각 글자는 ‘귀할 귀’, ‘아래 하’라고 훈독한다. 글자대로라면 ‘귀한 아래’라는 뜻이다.

국어사전은 貴下를 “①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 ②편지 따위에서 상대방 이름 밑에 붙여 쓰는 말”로 풀이하고 있다. ②의 뜻이 ①보다 먼저 발생했을 가능성이 많다. 상대방에게 편지를 보내면서 ‘귀하신 분의 아래에’ 올린다는 뜻에서 貴下라는 말을 사용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나라나 중국에서는 貴下라는 말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족하(足下)’라는 말을 주로 사용했다. 상대방의 ‘발아래’에 편지를 올린다는 뜻으로 그런 말을 사용했다. 貴下는 항일시대에 일본으로부터 들어온 말이다.

‘집 각(閣)’을 쓰는 閣下는 상대방의 ‘집 아래’라는 뜻이니 큰 집을 가진 권세가를 상대로 사용하는 말이고, 궁전을 나타내는 ‘집 전(殿)’을 쓰는 殿下는 ‘임금의 아래’라는 뜻이니 임금에게만 쓰는 말이다. 귀한 분의 아래, 상대방의 발아래, 권문세가의 집 아래. 왕이 사는 궁전 아래에 글을 올리며 사용하던 貴下, 足下, 閣下, 殿下는 나중에 상대방을 지칭하는 칭호로도 사용하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貴下가 우리말의 ‘여보’라는 뜻으로도 사용되어 주로 아내가 남편을 부를 때 쓴다고 한다. 항일시대에 貴下와 함께 ‘貴中’이라는 말도 들어왔다. “귀하신 분들 가운데(中)로 보낸다”는 뜻을 가진 ‘貴中’은 개인이 아니라 단체를 향해 편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말이다.

이제는 일본에서 들어온 貴下와 貴中이 우리가 본래 사용하던 足下를 제치고 일상어로 굳어져 버렸다. 대통령을 ‘각하’가 아니라 ‘대통령님’이라고 부르면서부터 貴下 대신 ‘○○○님께’라는 순우리말 표현이 퍼지고 있다. 참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강남 아파트값, 홍콩·싱가포르 다음으로 비싸지만⋯초고가는 ‘아직’ [평당 1억, 서울 집값은 정말 비싼가?①]
  • 이재명 '경제' 김문수 '일자리’ 이준석 ‘중국’ 권영국 '불평등' [킹스피치(King's speech) 해례본]
  • 단독 한화에어로, 방산 1호 중대재해 적용 피할 듯…노동청, 내사종결 가닥
  • 단독 '고아계약' 사라지나…금융당국, 설계사 퇴사 시 수수료 승계 검토
  • 구멍 뚫린 중기 대출에⋯은행권 '건전성 누수' 골머리 [대출 회수 경고음]
  • 현대차ㆍ기아 ‘재고 33.6조’…수요 꺾이며 ‘피크아웃’ 우려
  • 단독 DB하이텍, 상하이에 첫 현지 법인 설립… 中 파운드리 시장 공략
  • 금호타이어, 글로벌 판매량 11% 생산차질 불가피…보험가입액 1.3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0 15: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751,000
    • +1.7%
    • 이더리움
    • 3,581,000
    • +5.35%
    • 비트코인 캐시
    • 552,000
    • +1.66%
    • 리플
    • 3,331
    • +0.45%
    • 솔라나
    • 237,000
    • +2.73%
    • 에이다
    • 1,038
    • +0.97%
    • 이오스
    • 1,113
    • +1.83%
    • 트론
    • 382
    • +2.14%
    • 스텔라루멘
    • 401
    • +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700
    • -0.54%
    • 체인링크
    • 22,610
    • +5.31%
    • 샌드박스
    • 438
    • +1.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