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반려(伴侶)와 반려(返戾)

입력 2018-07-12 13: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말에는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 즉 읽는 소리는 같은데 뜻은 완전히 다른 말들이 참 많다. 예를 들자면, ‘사기’라고 읽은 동음의 단어에 담긴 다른 뜻은 ‘사기(史記;역사 기록, 역사 책)’, ‘사기(士氣:굽힐 줄 모르는 기세)’, ‘사기(詐欺:속임)’ 등 무려 40개 이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동음이의어는 한자를 통해서만 구별이 가능하다. 우리의 문자 생활에서 한자를 배제할 수 없는 절대적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흔히 쓰는 ‘반려’라는 말에도 크게 두 가지 뜻이 있다. ‘반려동물’의 반려는 ‘伴侶’라고 쓰며 각 글자는 ‘짝 반’, ‘짝 려’라고 훈독한다. 사람과 짝하여 함께 살아가는 반려자(伴侶者)와 같은 동물을 반려동물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반려는 사표를 반려할 때도 사용한다. 이때의 반려는 ‘返戾’라고 쓰며 각 글자는 ‘돌아올 반’, ‘어그러질 려’라고 훈독한다. ‘일이 어그러져 되돌아오는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국어사전은 이 返戾를 “윗사람이나 상급기관에 제출한 문서를 처리하지 않고 되돌려줌”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표 반려’는 곧 아랫사람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受理:받아서 처리함)하지 않고 되돌려주는 것을 말한다.

사의를 표명한 청와대 행정관에 대해 비서실장이 “첫눈이 내릴 때 놓아 주겠다”는 표현을 한 것을 두고 더러 “지나치게 감정적인 표현” 운운하는 평이 있었다. 그런데 이 사실을 보도하는 일부 언론에서는 “사의를 반려했다”는 표현을 했다. 맞지 않는 표현이다. 사표는 문서로 제출한 것이기 때문에 반려할 수 있지만 사의는 문서가 없이 말을 통에 뜻을 표명한 것이기 때문에 반려할 게 없다. 따라서 사의 표명에 대해서는 ‘만류했다’고 하는 것이 훨씬 더 매끄러운 표현이다.

분수를 아는 아름다운 사의 표명은 만류하여 다시 伴侶 관계가 되어야 하지만 부적절한 행동에 따른 사의 표명은 곧바로 사표 수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딸기 가고, '말차' 왔다!…초록빛에 진심인 요즘 감성 [솔드아웃]
  • 증권업 재진출 이어 보험사까지…임종룡 '뚝심' 통했다
  • SKT 유심 대란이 드러낸 ‘통신비’의 실체…‘다크패턴’ 확인해보세요 [해시태그]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725,000
    • -0.38%
    • 이더리움
    • 2,633,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540,000
    • +3.65%
    • 리플
    • 3,157
    • -1.28%
    • 솔라나
    • 211,900
    • -2.03%
    • 에이다
    • 990
    • -2.56%
    • 이오스
    • 1,030
    • +4.46%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388
    • -2.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400
    • +2.88%
    • 체인링크
    • 20,980
    • -1.73%
    • 샌드박스
    • 428
    • -1.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