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뉴욕증시,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도 상승…다우 0.32%↑

입력 2025-05-20 06: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채 금리 급등했지만, 하락으로 돌아서
"신용등급 강등, 숨고르기 '명분'"...상징적 의미

▲뉴욕증권거래소(NYSE). 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NYSE). 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는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하면서 미국이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최고 신용등급을 박탈당한 가운데 소폭 상승했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37.33포인트(0.32%) 상승한 4만2792.07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5.22포인트(0.09%) 오른 5963.60에, 나스닥지수는 4.36포인트(0.02%) 오른 1만9215.46에 거래를 끝냈다.

무디스는 16일 연방정부의 부채 증가로 인한 재정 지표 악화를 우려하며 미국의 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낮췄다. 그간 무디스는 3대 신용평가사 중 유일하게 미국에 최고 등급을 부여하고 있었다. 신용등급 전망은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변경했다.

뉴욕증시는 신용등급 강등에 위험회피 심리로 약세로 출발했지만 장중 낙폭을 좁혀 상승 마감했다. 특히 미 국채 금리가 고점에서 후퇴하면서 손실을 줄였다. 신용등급 강등으로 국채 금리가 급등했는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완전히 반영되기도 전에 신용등급이 강등되자 시장에 불안감이 퍼졌다고 CNBC방송은 해석했다.

3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장중 5.03%까지 올라 2023년 11월 이후 최고수준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이후 상승폭이 줄면서 2bp(1bp=0.01%포인트) 상승한 4.921%를 기록했다. 10년물 미 국채 금리도 2bp 오른 4.459%로 집계됐다. 지난달 상호관세로 주식시장에 타격을 주고 난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에서 한발 물러나는 데 영향을 줬던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올랐다가 다소 진정된 모습을 보인 셈이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애널리스트는 CNBC에 “무디스가 지적한 미국의 재정 상황은 이미 모든 투자자가 알고 있는 내용”이라며 “이번 신용등급 강등은 시장이 잠시 숨 고르기 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한 것이다. 6~12개월 내 시장 전망에 대한 낙관적인 입장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시장 반등은 트럼프 행정부가 향후 어떤 무역 협상의 결과를 발표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CNBC는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만 달러선 무너진 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솔라나·도지코인도 동반 하락
  • 이란 의회, 호르무즈해협 봉쇄 의결…유가 급등 우려 커져
  • 서울 '월세살이' 더 늘어나나…전셋값 오르고 전세대출은 DSR 규제 ‘사정권’
  • 美ㆍ이란, 유엔 안보리서 정면 충돌⋯"이란 핵 위협" vs "핵시설 공격, 국제법 위반"
  • SNS 실트 오른 '러브버그', 언제 사라질까?
  • 생중계된 '불꽃야구', 인하대 문교원 씨가 된 사연
  • ‘신약·신기술 보호막 강화’…해외 특허 집중하는 국내 바이오
  • SNS 달군 테슬라 로보택시 체험기…텍사스 오스틴 거리 달린 실제 모습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6.23 12:1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1,569,000
    • -1.05%
    • 이더리움
    • 3,134,000
    • -1.29%
    • 비트코인 캐시
    • 627,000
    • -3.46%
    • 리플
    • 2,830
    • -1.97%
    • 솔라나
    • 185,900
    • -1.59%
    • 에이다
    • 766
    • -0.65%
    • 트론
    • 372
    • -2.11%
    • 스텔라루멘
    • 323
    • -2.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60
    • -2.14%
    • 체인링크
    • 16,380
    • -2.15%
    • 샌드박스
    • 326
    • -1.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