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확대…셀트리온 코스피 이전에 미치는 영향은?

입력 2017-08-23 12: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당국이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요건을 대폭 낮추기로 하면서 공매도에 몸살을 앓아 온 셀트리온의 코스피 이전상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셀트리온 소액주주들이 코스피 이전을 요구하는 명분으로 공매도로 인한 피해를 꼽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23일 공매도 비중 요건 인하와 비중 중가율 요건을 거래대금 증가율로 대체하는 내용을 담은 공매도 과열종목 적출 기준 대폭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금융위가 대대적으로 공매도 잡기에 나선 것은 지난 3월부터 시행된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이후 추가적인 주가 급락이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이들 종목의 주가가 상승하는 등 시장 안정에 기여했다는 판단에서다.

박민우 금융위 자본시장과장은 “지난 4개월 간 데이터를 보면 기존에 과열종목 공표로 무분별한 추종 매매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보다는 이성적인 행위가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결국 이 제도가 본래 순기능을 하며 작동했다고 평가가 가능해, 이번 과열 종목 적출 기준을 대폭 확대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공매도를 피하기 위해 코스피로의 이전 상장을 준비 중인 셀트리온의 주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코스닥 시장보다 코스피에서 공매도가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으며, 이전 상장으로 주가가 더 오른다는 보장은 없다는 것이다.

실제 셀트리온의 공매도 비중이 평균 5.9%수준으로 삼성전자 6.2%, 현대차 8.0% 보다 낮은 수준이다. 박 과장은 “공매도 비중으로만 본다면 코스닥은 공매도의 비중은 2%가 되지 않지만 코스피는 6~7% 정도로, 코스닥보다 코스피가 공매도 비중이 더욱 큰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만 코스닥의 수익성 악화에 따라 이전 상장을 결심한 만큼 이를 막을 명분을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서정진 회장의 코스닥 잔류 의지와 한국거래소 축의 규정 변화 등 고육지책에도 불구 주주들의 이전상장 요구를 막을 명분과 실리가 제한적이란 점에선 셀트리온의 코스피의 이전상장 가능성은 이제 가부(可否)가 아닌 시기의 문제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20일)부터 병원·약국 갈 때 신분증 필수…"사진으로 찍은 신분증은 안 돼"
  • 김호중 클래식 공연 강행…"KBS 이름 사용 금지" 통보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하면…내 마일리지카드 어떻게 하나 [데이터클립]
  • “높은 취업률 이유 있네”…조선 인재 육성 산실 ‘현대공업고등학교’ 가보니 [유비무환 K-조선]
  • 9위 한화 이글스, 롯데와 '0.5경기 차'…최하위 순위 뒤바뀔까 [주간 KBO 전망대]
  • 단독 ‘에르메스’ 너마저...제주 신라면세점서 철수한다
  • 이란 최고지도자 유력 후보 라이시 대통령 사망...국제정세 요동칠까
  • '버닝썬 게이트' 취재 공신은 故 구하라…BBC 다큐 공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5.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877,000
    • +0.17%
    • 이더리움
    • 4,292,000
    • +0.73%
    • 비트코인 캐시
    • 672,000
    • +0.22%
    • 리플
    • 715
    • +0.42%
    • 솔라나
    • 245,000
    • +5.6%
    • 에이다
    • 646
    • -0.92%
    • 이오스
    • 1,098
    • +0.27%
    • 트론
    • 169
    • +0.6%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600
    • -0.82%
    • 체인링크
    • 22,770
    • -2.11%
    • 샌드박스
    • 598
    • -0.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