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불볕더위 기승' LG 휘센 에어컨 생산라인 3년 만에 가동률 최대

입력 2016-05-29 11: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전자가 일찍 찾아온 무더위로 경남 창원시에 있는 휘센 에어컨 생산라인을 지난해 보다 2주 이상 빠른 4월 말부터 일요일도 쉬지 않고 가동하고 있다. 사진제공 LG전자
▲LG전자가 일찍 찾아온 무더위로 경남 창원시에 있는 휘센 에어컨 생산라인을 지난해 보다 2주 이상 빠른 4월 말부터 일요일도 쉬지 않고 가동하고 있다. 사진제공 LG전자

LG전자가 일찍 찾아온 무더위로 일요일도 쉬지 않고 경남 창원시에 있는 휘센 에어컨 생산라인을 가동하고 있다. 생산라인 풀 가동은 지난해보다 2주 이상 이른 4월 말부터 시작됐다.

29일 LG전자에 따르면 LG 휘센 에어컨은 84년 만에 찾아온 5월 불볕더위, 지난 2년 간 주춤했던 수요 등의 영향으로 5월 한 달 생산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생산라인 가동률은 140%를 넘어, 에어컨 판매가 가장 호황이었던 2013년과 비슷할 정도다.

판매 성장세를 이끌고 있는 휘센 듀얼 에어컨은 상단 2개의 토출구가 좌우 120도까지 바람을 보내 더 효율적이고 쾌적하게 냉방해 준다. 이 제품은 인체 감지 카메라를 탑재해 최대 5미터 거리까지, 좌우로는 최대 105도 범위에서 사람의 수, 위치, 활동량 등을 감지한다. 인체 감지 카메라로 실시간으로 사람의 형상을 찾는 방식으로 실내 상황을 파악한 후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자동으로 설정해준다.

사람들의 위치를 감지해 두 개의 토출구에서 나오는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각각 자동으로 조절해 가장 쾌적한 바람을 내보낸다. 거실에 한 사람만 있는 것을 감지하면 두 개의 냉기 토출구 가운데 사람이 있는 방향의 토출구만 사용해 두 개의 토출구를 모두 사용할 때보다 전력소비량을 최대 50.3%까지 줄일 수 있다.

LG전자는 휘센 듀얼 에어컨에 에너지 효율은 높이고 소음은 줄인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를 장착했다. 휘센 듀얼 에어컨은 기존 정속형의 컴프레서 대비 전기료를 63%까지 줄여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을 구현했다.

LG전자 류재철 가정용에어컨(RAC) BD 담당은 “일찍 찾아온 무더위,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에어컨 시장이 뜨거워지고 있다”며 “전기료 부담은 줄이면서 쾌적하게 냉방하는 휘센 듀얼 에어컨을 앞세워 국내 에어컨 시장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열애설·사생활 루머로 고통…실체 없는 '해외발 루머' 주의보 [이슈크래커]
  • 사내 메신저 열람…직장인들 생각은 [데이터클립]
  • 연준, 기준금리 7회 연속 동결…올해 금리 인하 횟수 3→1회로 줄여
  • 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 권도형, '테라사태' 6조 원대 벌금 낸다…美 당국과 합의
  • ‘과외앱 20대 또래여성 살해’ 정유정, 대법 선고…1‧2심 무기징역
  • '나는 솔로' 20기 정숙의 뽀뽀 상대 드디어 공개…'뽀뽀남'은 영호
  • 청약통장 월납입 인정액 10만→25만 상향…41년 만에 개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14:2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57,000
    • -0.05%
    • 이더리움
    • 4,935,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632,000
    • +1.12%
    • 리플
    • 687
    • +1.18%
    • 솔라나
    • 214,200
    • +0.66%
    • 에이다
    • 609
    • +1.5%
    • 이오스
    • 973
    • +0.72%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40
    • +1.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050
    • +1.32%
    • 체인링크
    • 21,940
    • +1.81%
    • 샌드박스
    • 566
    • +1.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