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축소…고소득층 1.3% 늘 때 저소득층 5% 증가”

입력 2014-07-28 09: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성은 조세연구원 연구위원 “중산층-빈곤층, 실물자산 차이 적어”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중산층의 규모가 감소추세를 보이면서 저소득층은 5% 늘어난 반면 고소득층은 1.3% 증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최성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28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행한 ‘예산춘추’ 기고문에서 줄어든 중산층이 고소득층으로의 상향이동보다는 저소득층의 추락으로 이어졌다면서 이러한 수치를 제시했다.

통계청은 중위소득 50~150%를 중산층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중산층의 규모는 1990년대 초반 76%를 오가다 IMF금융위기를 거치며 67.7%까지 줄어드는 등 감소추세다. 이렇게 중산층이 줄면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이 동시 증가했는데, 저소득층의 확대 폭이 더 컸다. 최 연구위원이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등을 살펴본 결과, 빈곤층은 1990년 7.1%에서 2012년 12.1%로 늘은 데 반해 고소득층은 같은 기간 동안 17.5%에서 18.8%로 소폭 증가했다.

통계청의 기준인 소득이 아닌 자산 측면에서 살펴보면, 중산층은 실물자산 총액 평균이 2억1000만원이었고 빈곤층은 1억6000만원으로 계층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중산층 가구의 부채총액도 약4878만원으로 빈곤층의 부채총액과 유사했다.

최 연구위원은 “소득으로 정의된 중산층이 자산으로 따지면 빈곤층과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건, 자신이 중산층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중산층이 많은 현 중산층 정의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빈곤층을 이동시켜 중산층을 두텁게 하기 위해선 이들에게 짐이 되고 있는 주택 관련 부채문제 해결을 위한 주택정책 개선, 근로소득을 높일 수 있는 일자리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최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특히 정규직(상용직) 비중이 고소득층은 약 69%, 중산층은 57% 가량임에도 빈곤층에선 21%에 지나지 않아, 결국 낮은 정규직 비중이 빈곤함정을 만들고 있다고 했다. 또한 빈곤층의 21.9%를 차지하고 있는 노인가구의 경우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도 중산층으로의 이동에 한계가 있는 만큼, 노후소득 보장정책도 조합하는 게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724,000
    • -0.21%
    • 이더리움
    • 5,038,000
    • +2.84%
    • 비트코인 캐시
    • 548,500
    • -0.18%
    • 리플
    • 697
    • +1.16%
    • 솔라나
    • 191,400
    • -1.34%
    • 에이다
    • 545
    • +1.68%
    • 이오스
    • 810
    • +3.98%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32
    • +3.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2.46%
    • 체인링크
    • 20,360
    • +3.98%
    • 샌드박스
    • 459
    • +5.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