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방송 독과점 없어야" 발언…대형 캐이블사 '술렁'

입력 2014-02-17 20: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17일 "방송시장의 독과점 구조가 발생하지 않도록 검토를 바란다"고 강조해 발언의 의미를 두고 방송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업무보고 모두발언에서 "최근 방송시장에 진출한 대기업들이 수직계열화를 통해서 방송채널을 늘리고 있다"며 "중소프로그램 제공업체의 입지가 좁아져서 방송의 다양성이 훼손된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케이블TV협회·방송협회·PP협의회 등 방송업계에서는 정부가 추진 중인 복수방송사용채널사업자(MPP) 시장점유율 규제 완화 움직임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말 발표한 '방송산업 발전 종합계획'에서 현재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총 매출액의 3분의 1로 제한된 MPP의 시장점유율을 단계적으로 완화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규제를 풀어 콘텐츠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대통령이 직접 대기업의 수직계열화를 지목한 만큼 규제 완화 정책은 추진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업계에서는 청와대가 CJ그룹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CJ는 CJ헬로비전이라는 케이블TV방송사업 플랫폼(MSO)뿐만 아니라 17개의 방송채널을 운영하는 CJ E&M(MPP)도 계열사로 두고 있기 때문이다.

2012년도 PP 방송사업 매출액 기준으로 보더라도 CJ E&M은 전체 PP 매출액 5조5천억원 가운데 7천여억원을 올릴 만큼 수직 계열화된 MPP 가운데 가장 큰 업체다.

이에 대해 청와대 측은 특정 업체를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수직계열화 해체가 개별 PP들의 다양성 보장 등 공정 환경 조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생각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MPP에 속하지 못한 중소 PP들이 채널편성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관행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수직계열화 된 채널들을 없애면 중소 PP의 경쟁력이 올라간다는 것은 인과성이 떨어진다는 것.

반면 PP업계는 박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환영하면서도 MPP든 중소 PP든 서로 협력해서 균형발전을 이루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퇴사자 월급 단돈 9670원 지급"…강형욱 갑질논란 추가 폭로 계속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하면…내 마일리지카드 어떻게 하나 [데이터클립]
  • 윤민수, 결혼 18년 만에 이혼 발표…"윤후 부모로 최선 다할 것"
  • ‘시세차익 20억’…래미안 원베일리, 1가구 모집에 3만5076명 몰려
  • "이더리움 ETF 승인 가능성 매우 높다"…비트코인, 39일 만에 7만 달러 돌파[Bit코인]
  • '최강야구' 고려대 직관전, 3회까지 3병살 경기에…김성근 "재미없다"
  • 이란 대통령 헬기 사고 사망…광장 가득 메운 추모 인파 현장 모습
  • 비용절감 몸부림치는데…또다시 불거진 수수료 인하 불씨 [카드·캐피털 수난시대上]
  • 오늘의 상승종목

  • 05.21 11: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045,000
    • +5.21%
    • 이더리움
    • 5,016,000
    • +17.44%
    • 비트코인 캐시
    • 711,000
    • +5.88%
    • 리플
    • 732
    • +3.24%
    • 솔라나
    • 252,300
    • +6.23%
    • 에이다
    • 686
    • +6.03%
    • 이오스
    • 1,157
    • +5.95%
    • 트론
    • 170
    • +1.19%
    • 스텔라루멘
    • 153
    • +4.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500
    • +7.64%
    • 체인링크
    • 23,220
    • +1.18%
    • 샌드박스
    • 639
    • +7.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