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美 디폴트 우려에 하락...다우 88.36P↓

입력 2011-07-26 06:25 수정 2011-07-26 08: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민주·공화, 부채협상 타결에 실패...입장차만 재확인

뉴욕증시는 25일(현지시간) 하락했다.

미국의 연방정부 채무한도 증액과 재정적자 감축 협상의 난항에 대한 우려가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88.36포인트(0.7%) 하락한 1만2592.80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6.03포인트(0.56%) 떨어진 2842.80을 기록했고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1337.43으로 7.59포인트(0.56%) 빠졌다.

미국 백악관과 의회는 지난 주말 정부 채무한도 증액에 대한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데다 이날에도 양측의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부채 협상이 마감 시한인 다음달 2일 전에 타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시장은 진전이 없는 협상의 불확실성 때문에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공화당의 존 베이너 하원 의장은 주말인 24일에도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점을 도출하는데 실패했다.

공화당은 주말 협상이 결렬되자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막기 위해 임시방편의 단기 처방책으로 일부 상한을 증액한 후 내년에 다시 상한을 증액하는 ‘2단계 증액’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과 백악관은 채무 문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없어 시장에 악영향만 줄 수 있다며 반대하는 입장이다.

일각에서는 공화당과 민주당이 각자 별도의 안을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베이너 의장이 대통령과의 합의가 무산되면 공화당이 자체 안을 내놓겠다고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협상이 교착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신용평가사들이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앞서 S&P는 “미국의 채무한도 증액보다는 재정적자 감축이 더 중요하다”면서 “미국이 적자를 향후 10년간 4조달러(약 4220조원) 줄이는데 합의하지 못하면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고 거듭 경고했다.

이는 미국 정치권이 협상 시한에 쫓겨 디폴트를 모면하기 위해 미봉책 수준의 타협안을 도출할 경우에도 신용등급을 강등할 수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김홍국의 아픈 손가락 하림산업, 6월 ‘논현동 하림타워’ 소집령 발동
  • 마운트곡스發 비트코인 14억 개 이동…매도 압력에 비트코인 ‘후퇴’
  • '최강야구' 니퍼트도 눈치 보는 김성근 감독?…"그가 화가 났다고 생각합니까?"
  • 나스닥 고공행진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밈코인은 게임스탑 질주에 '나 홀로 상승' [Bit코인]
  • 전세사기 특별법 공방은 예고편?…22대 국회 ‘부동산 입법’ 전망도 안갯속
  • 반도체 위기인데 사상 첫 노조 파업…삼성전자, 경영 악화 심화하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19,000
    • -0.8%
    • 이더리움
    • 5,276,000
    • -2.15%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14%
    • 리플
    • 734
    • +0.14%
    • 솔라나
    • 234,100
    • +0.39%
    • 에이다
    • 641
    • +0.63%
    • 이오스
    • 1,137
    • +0.71%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100
    • +0%
    • 체인링크
    • 25,580
    • +1.23%
    • 샌드박스
    • 637
    • +2.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