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산업·에너지 분야 연구개발(R&D) 투자 방향을 확정하기 위한 논의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반도체와 전기차, 산업용 로봇 등 초격차 기술 및 산업 전반의 인공지능(AI) 적용 확대를 핵심 전략으로 삼고 내년도 예산 편성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혁신을 뒷받침할 인프라 투자 계획과 국제표준을 고려한 R&D 연계 전략 마련에 들어가며,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협업을 본격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오승철 산업기반실장 주재로 '2025년 제1차 산업·에너지 R&D 전략기획투자협의회'를 열고 2026년 산업·에너지 R&D 예산 편성(안)과 '2026~28년 산업혁신기반구축 로드맵'을 심의하고, 국제표준과 국가 R&D 연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먼저 산업부는 초격차 기술과 산업 AI에 초점을 맞춰 편성한 내년도 R&D 예산안을 공개했다.
신규사업으로 접수된 124개 과제 중 다층평가를 거쳐 61개 과제를 선별했다. 주요 사업에는 △총사업비 1조 원 규모 첨단반도체 양산연계 미니팹 구축 △5분 급속충전 전기차 배터리 △중대형 선박 블록 자동 핸들링 및 지능형 용접 △희귀·난치성 질환 대응 세포·유전자 치료제 공정 기술개발 등이 포함됐다.
관련 뉴스
또한 산업 AI 확산을 위해 △화합물 조성 파운데이션 모델 △공정 최적화·고장예측·품질관리 AI 기술 △산업데이터 공유를 위한 ‘한국형 Manufacturing-X’ 플랫폼 구축 △로봇 AI 파운데이션 모델과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과제도 추진된다. 이들 사업은 향후 예산당국과 국회 심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이어 산업부는 중소·중견기업과 연구기관 지원을 위한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의 2026~28년 로드맵도 심의했다.
이 사업은 공공연구기관에 구축한 장비·시설을 기업들이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산업부는 지난 10년간 약 2조6000억 원을 투자해 평균 가동률 81.9%를 달성했으며, 이는 부처 평균 대비 1.9배 높은 실적이다.
새 로드맵에는 △차세대 배터리 전극제조 테스트베드 △자동차 사이버보안 인증평가 △극자외선(EUV)·극미세공정용 광학소재 플랫폼 △AI 반도체 첨단 패키징 실증평가 △AI 휴머노이드 안정성·보안평가 등이 포함됐다. 반영 과제는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매년 재검토하고, 예산심의를 통해 지원이 확정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초격차 프로젝트 성과관리 체계 강화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산업부는 프로젝트별 미션을 완제품 중심으로 구체화하고, 정밀한 성과 점검을 통해 구조조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프로젝트 디렉터(PD)에게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는 체계로 전환하고, 관련 운영규정도 신설할 예정이다.
또한 기술개발과 동시에 국제표준 제정을 추진하는 ‘국제표준-R&D 연계 전략’을 올해 안에 구체화해 발표할 계획이다.
오 실장은 “기업이 선뜻 투자하기 어려운 분야, AI와 같이 산업계가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해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산·학·연이 한 몸처럼 움직이면서 난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투자와 지원방식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