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메디슨 스퀘어 파크로"...서울광장, 21년 만에 새단장

입력 2025-04-28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새단장한 서울광장 조감도. 이미지 제공-서울시
▲새단장한 서울광장 조감도. 이미지 제공-서울시

서울 랜드마크 ‘서울광장’이 21년 만에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서울광장’을 문화·예술·여가·자연을 모두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해 28일 시민들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2004년 5월 개장한 서울광장은 그동안 다양한 행사와 축제 장소로 활용되며 ‘펀시티’ 서울의 무대가 됐다. 시민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는 ‘핫플’ 중 하나다.

시는 서울광장에 숲과 정원을 추가해 새로운 녹색공간으로 변화시켰다. 행사 중심이벤트형 광장에서 자연까지 만끽할 수 있는 장소로 단장한 것이다. 뉴욕 맨해튼의 ‘매디슨 스퀘어 파크’처럼 문화·예술공연부터 행사, 휴식, 산책이 모두 가능한 ‘정원 같은 광장’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우선 지난 2023년 식재한 광장 양쪽 24그루의 소나무에 더해 아름드리 느티나무 6그루를 추가로 심었다. 기존의 나무 하단은 다양한 꽃과 나무로 채워진 일명 ‘한뼘 정원’으로 꾸몄다. 시민들에게 휴식공간과 녹음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장 주변에는 산단풍, 마가목 등 화분 300여개를 배치해 정원형 도시광장으로서의 완성도를 높였다. 광장 한편에는 거울에 비친 서울시청을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할 수 있는 ‘정원형 포토존’도 설치했다.

서울광장 바닥도 자연 친화적으로 변화했다. 1년 365일 중 평균 320일 이상의 행사 개최로 훼손과 복구를 반복했던 잔디는 서울의 기후 특성에 맞는 난지형잔디(한국형잔디)로 교체했다. 잔디 사이에는 목재길을 조성해 시민 편의와 잔디 보호는 물론 경관도 개선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연간 약 331.92톤의 탄소저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시는 밝혔다. 올해 하반기엔 서울광장 2차 개선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올해 11월 광장 동쪽에 느티나무 플랜터(나무주변 쉼터) 6개소를 추가로 조성하고, 정원 주변에는 앉음벽(걸터앉아 쉴 수 있는 조형물)을 설치할 예정이다. 내년 4월까지 명실상부한 ‘서울광장 숲’, ‘서울광장정원’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서울의 랜드마크인 서울광장을 단순 행사 관람과 참여의 공간을 넘어 문화와 예술을 누리면서 오래 머물 수 있는 휴식의 공간으로 변화시켜 나가겠다”며 “뉴욕시민의 자랑인 매디슨 스퀘어 파크처럼 서울광장이 시민은 물론 서울을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깊은 인상과 매력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54,000
    • +2.72%
    • 이더리움
    • 3,290,000
    • +20.69%
    • 비트코인 캐시
    • 587,500
    • +0.6%
    • 리플
    • 3,296
    • +5.84%
    • 솔라나
    • 232,000
    • +7.81%
    • 에이다
    • 1,095
    • +8.74%
    • 이오스
    • 1,192
    • +0.51%
    • 트론
    • 364
    • +2.82%
    • 스텔라루멘
    • 418
    • +8.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00
    • +3.86%
    • 체인링크
    • 22,570
    • +8.67%
    • 샌드박스
    • 454
    • +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