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오른 것보다 유가 더 하락” 수입물가, 두 달째 떨어져

입력 2025-04-16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16일 ‘2025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 발표
수입물가, 전월대비 0.4% 하락…환율 0.8% 상승·국제유가 7.0% 하락 영향
수출물가, 0.3% 오르며 상승 전환…환율 상승 영향 받아
“美 관세 정책, 수출입물가 상·하방으로 영향 예상”

(한국은행)
(한국은행)
수입물가지수가 두 달째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것보다 국제유가가 더 크게 하락한 영향을 받았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5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계약시점)는 143.04로 전월대비 0.4% 하락했다. 2월(-0.1%)에 이어 두 달째 떨어졌다.

수입물가가 하락한 배경에는 국제유가 영향이 컸다. 지난달 월평균 원·달러 환율은 전월대비 0.8% 상승한 1456.95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월평균 국제유가(두바이유)는 배럴당 77.92달러에서 72.49달러로 7.0%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폭보다 국제유가 하락폭이 더 커 수입물가에 하락 영향을 준 것이다.

수입물가 용도별로 보면 원재료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3.3% 하락했다. 중간재는 1차금속제품,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등이 오르며 전월대비 0.7% 상승했다. 자본재 및 소비재는 각각 전월대비 1.6%, 0.9% 상승했다.

이문희 한은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4월 들어서 현재까지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의 변동을 보면 두바이유가 전월 평균보다 5.4% 하락했고, 원·달러환율은 0.3% 소폭 상승했다”며 “국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연말까지 지켜봐야겠지만 현재로써는 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이 정도 변동폭이 이어진다면 수입물가에는 유가 하락 영향이 크게 반영되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환율 변동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예단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3월 수출물가지수는 135.0으로 전월대비 0.3% 상승했다. 2월(-0.6%) 하락 전환한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상승으로 돌아섰다. 수출물가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가운데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이 오른 영향을 받았다. 부문별로 농림수산품은 전월대비 1.6% 상승했다. 공산품은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0.3% 올랐다.

지난달 수출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이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3.4% 상승했다. 수출금액지수는 전년동월대비 0.9% 올랐다. 수입물량지수는 기계및장비,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등이 증가해 전년동월대비 5.1% 상승했다. 수입금액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8% 올랐다.

3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이 수출가격보다 더 크게 하락해 0.8% 상승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0.8%)와 수출물량지수(3.4%)가 모두 상승하면서 4.3% 올랐다.

이 팀장은 미국의 관세정책이 수출입물가에 상·하방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이 팀장은 “관세 정책에 따라서 글로벌 경기, 시장 수급 상황, 업체들의 가격 책정 전략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미국으로 수출하는 경우 글로벌 경기 둔화, 구매 유보로 수요가 둔화할 수 있고 관세 부과를 대비해 가격을 인하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승요인은 관세 부과 전에 선제적 비축 수요가 생길 수 있다“며 ”국제 시세가 움직일 수 있고, 우리나라나 각국의 가격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어떤 쪽이 뚜렷하게 나타날지 지금으로써는 예상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美서 퇴출 수순 '中 항만크레인', 韓 시장 절반 넘게 장악
  • KIA 김도영, 햄스트링 또 터졌다⋯부상 악령 시달리는 디펜딩 챔피언
  • 세금 성실히 내고 쌓은 ‘세금포인트’로 혜택 누려볼까 [경제한줌]
  • "제로·저당만 찾아요"…달라진 음료 트렌드 [데이터클립]
  • '빨간 점퍼' 오해 받은 카리나, 결국 입장 냈다…"전혀 그런 의도 아냐"
  • [입시톡톡] 최다 N수생 몰린 6월 모평…“수능 위한 학습도구로 활용”
  • 1분기 합계출산율 0.82명⋯전년 동월 대비 0.05명↑
  • 이재명 vs 김문수, 이재명 vs 이준석 가상 양자 대결 격차 동률 [한국갤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1,282,000
    • -0.59%
    • 이더리움
    • 3,658,000
    • +0.33%
    • 비트코인 캐시
    • 580,500
    • -0.43%
    • 리플
    • 3,190
    • -0.41%
    • 솔라나
    • 241,700
    • -0.98%
    • 에이다
    • 1,043
    • -2.25%
    • 이오스
    • 1,061
    • -0.84%
    • 트론
    • 384
    • +0%
    • 스텔라루멘
    • 398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50
    • +0.3%
    • 체인링크
    • 21,940
    • -0.72%
    • 샌드박스
    • 424
    • -1.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