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증권 “카카오게임즈, 1분기 손실폭 확대…4분기까지 모멘텀 부족”

입력 2025-04-11 08: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투자의견 ‘중립’, 목표주가 1만5000원 유지

11일 현대차증권은 카카오게임즈에 대해 투자의견 ‘중립(M.Perform)’, 목표주가 1만5000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현재주가(10일 기준)는 1만3770원이다.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카카오게임즈의 올해 1분기 실적은 매출 1278억 원(YoY -28.3%), 영업손실 72억 원(YoY 적전)으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은 15% 하회, 영업손실은 30억 원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탑라인 급감은 신작 부재로 모바일 실적이 전년동기대비 37% 감소한 데 기인한다”면서 “1월 신작 발할라 서바이벌 출시에도 불구하고 기존작 감소 탓에 전분기비로도 모바일 매출은 감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반면, 영업비용은 인건비 추가 효율화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마케팅비도 전분기 이상 집행함에 따라 전체 수준은 유지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카카오게임즈가 4분기 프로젝트 Q 및 크로노 오디세이 출시 전까지 모멘텀이 부재할 것으로 봤다. 크로노 오디세이는 최근 FGT(포커스 그룹 테스트)를 마치고, 여름 글로벌 CBT(비공개 베타 테스트)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는 “올해 첫 신작이었던 발할라 서바이벌은 흥행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며, 3분기 가디스 오더까지는 대형 신작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결국 4분기 프로젝트Q, 크로노 오디세이가 지연 없이 출시되기 전까지 모멘텀은 부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증권은 결국 카카오게임즈의 실적 향상을 위해서는 신작 흥행에 따른 매출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연구원은 “마케팅 비용 효율화(매출액 6~7%), 낮은 기여도 게임들의 서비스 종료 등 영업비용 절감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추가 효율화는 힘들어진 구간에 진입했다”면서 “현재 준비중인 라인업만 대작 콘솔 게임 4종을 포함하여 10종에 달하기 때문에 개발 인력 투자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신작 흥행에 따른 매출 증가만이 영업손실 탈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며 프로젝트Q 또는 크로노 오디세이에 대한 출시 일정 확정까지는 관망세가 유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710,000
    • -1.49%
    • 이더리움
    • 2,621,000
    • -1.39%
    • 비트코인 캐시
    • 527,500
    • -0.85%
    • 리플
    • 3,159
    • -1.59%
    • 솔라나
    • 211,600
    • -2.58%
    • 에이다
    • 997
    • -2.83%
    • 이오스
    • 1,021
    • -0.1%
    • 트론
    • 356
    • +0.85%
    • 스텔라루멘
    • 391
    • -2.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250
    • -7.74%
    • 체인링크
    • 20,700
    • -3%
    • 샌드박스
    • 426
    • -3.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