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출범 이후 5만 명 미만 지방 소도시 청약 15배 늘었다

입력 2022-04-15 10:37 수정 2022-04-15 13: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핀셋 규제로 지방 비규제지역 투자 늘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아파트 공급량 변화 (자료제공=부동산R114)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아파트 공급량 변화 (자료제공=부동산R114)

인구 5만 명 미만 지방 소도시 신규 분양 물량이 현 정부 출범 이래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비규제지역 이점으로 투자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15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이후 5년간 지방 소도시에 일반공급된 신규 단지는 전체 72개, 1만4498가구로 집계됐다. 연평균 2900가구가 공급된 셈이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 동안 공급된 단지는 전체 38개, 6994가구로, 연평균 1399가구가 공급됐다. 현 정부에서 단지 개수는 1.89배, 가구 수는 2.07배 늘어난 것이다.

공급이 많아지면서 청약자 수도 늘었다. 2017년 이후 5년간 지방 소도시에서 청약 접수한 사람은 2만6934명으로, 평균 1.8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반면 이전 5년 동안은 1730명으로, 평균 경쟁률이 0.25대 1에 그쳤다.

특히 1순위 청약자 수가 크게 늘었다. 2012년 이후 5년간 1순위 청약자 수는 893명으로, 전체 청약 자수 1730명의 52% 수준이었다. 반면 현 정부 출범 이후에는 2만3823명으로 전체 2만6934명 가운데 88%를 차지했다.

개별 단지 청약 성적도 2017년 이후 반전된 모양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공급된 모든 단지 청약 경쟁률을 비교했을 때, 상위 10개 단지 중 8개가 2017년 이후에 분양됐다.

2017년 이전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던 경남 함양군 '함양 웰가센트뷰'는 평균 2.1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지만 1순위 마감에 실패했다. 반면 지난해 충남 계룡시 '계룡자이'는 평균 27.68대 1의 두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1순위 마감에도 성공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과거 지방 소도시는 인구 규모가 작아 아파트 수요가 적은 만큼 공급도 많지 않았다"며 "다만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많은 건설사가 비규제지역인 지방 소도시에 아파트를 짓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투자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90,000
    • -0.01%
    • 이더리움
    • 5,223,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667,000
    • +0.3%
    • 리플
    • 701
    • +0.43%
    • 솔라나
    • 227,900
    • +2.38%
    • 에이다
    • 625
    • +1.79%
    • 이오스
    • 1,000
    • +1.32%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41
    • +2.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200
    • +1.13%
    • 체인링크
    • 22,950
    • +3.15%
    • 샌드박스
    • 593
    • +2.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