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조사’ 사실 숨기고 공무원 합격…법원 “채용 취소 적법”

입력 2020-06-14 09: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무원 채용공고에 응시하면서 수사 기관에서 조사를 받은 사실을 숨긴 경우 합격 취소 처분은 적법하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2부(재판장 이정민 부장판사)는 A 씨가 대통령비서실장을 상대로 “공무원채용시험 합격 취소 및 응시자격 정지 처분을 취소해달라”고 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

A 씨는 2018년 대통령비서실 전문임기제 공무원 면접시험에서 ‘경찰청, 검찰청, 또는 감사원 등으로부터 조사를 받은 적 있습니까’라는 문항에 ‘아니오’라고 표시해 제출했다. A 씨는 같은해 11월 최종 합격 통보를 받았다.

하지만 대통령비서실은 합격자에 대한 신원조사 및 인사 검증 결과 A 씨가 같은해 5월 벌금형 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해 1심 재판이 진행중인 사실을 확인하고, 합격 취소 및 5년간 공무원 임용시험 응시자격 정지 처분을 했다.

A 씨는 “‘경찰 조사’와 ‘경찰청 조사’가 다른 것으로 인지했고, 임용대상 사전 질문서는 모집공고에 기재된 ‘시험에 관한 소명 서류’에 해당하지 않아 처분 사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합격 취소와 5년간 응시 자격까지 박탈하는 각 처분은 헌법상 보장된 직업선택의 자유 및 공무담임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으로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된다”고 소송을 제시했다.

재판부는 “질문서는 응시자들에 대한 평가와 관련해 제출하도록 한 서류로서 사실대로 기재해야 할 제출서류에 해당한다”며 “건전한 상식을 가진 일반인이라면 위 질문내용의 ‘경찰청, 검찰청 또는 감사원 등으로부터’라는 표현은 수사와 감사에 대한 국가업무 담당 중앙행정기관을 예시로 든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A 씨가 허위 기재해 은폐함으로써 수사 및 처벌 유무, 그 내용과 경위 등에 대한 평가가 이뤄질 수 없게 돼 부정한 수단으로 경쟁을 통해 이뤄지는 이 사건 채용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임용시험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해하는 중대한 결과를 발생시키는 부정행위에 엄격히 제재할 공익상의 요청이 더욱 크다”고 판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리더 ‘정용진’의 신세계, 어떻게 바뀌었나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美 출장 성과에 “열심히 해야죠”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SM, '매출 10% 못 주겠다'는 첸백시에 계약 이행 소송…"법과 원칙대로"
  • 주식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후 내년 3월 31일 재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08,000
    • -1.77%
    • 이더리움
    • 4,924,000
    • -1.99%
    • 비트코인 캐시
    • 612,000
    • -4.67%
    • 리플
    • 678
    • -1.88%
    • 솔라나
    • 208,800
    • -4.35%
    • 에이다
    • 599
    • -2.92%
    • 이오스
    • 957
    • -3.14%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39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900
    • -3.94%
    • 체인링크
    • 21,650
    • -3.91%
    • 샌드박스
    • 557
    • -3.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