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부실채권 비율 0.77%…금융위기 이후 11년來 최저치

입력 2020-03-09 13: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분기 연속 '0%'대…기업 구조조정 진정 속 건전성 관리 쉬운 가계대출 늘은 덕

(출처=금융감독원)
(출처=금융감독원)

은행들의 자산 건전성을 나타내는 부실채권 비율이 11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들의 부실채권비율은 0.77%로 전년 말 대비 0.20%포인트(p) 하락했다.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6월 말(0.70%) 이후 최저 수준이다.

지난해 부실채권이 15조1000억 원 생겼지만, 이보다 많은 18조 원을 정리한 덕이다. 이에 부실채권 비율은 2018년 3분기 말(0.82%) 10년 만에 1% 밑으로 떨어진 이후 6분기 연속 0%대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 신규부실이 11조5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조1000억 원(26.6%) 감소했다.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3조1000억 원으로 같은기간 6000억 원(23.4%) 늘었다.

부실채권 비율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우선 기업여신은 1.10%로 전년 말과 비교해 0.32%p 하락했다. 구체적으로 대기업여신이 1.5%(0.06%p↓), 중소기업여신이 0.89%(0.16%↓), 개인사업자여신이 0.35%(0.01%↓)를 각각 기록했다.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25%로 전년 말 대비 0.02%p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이 0.19%(0.02%p↑), 신용대출이 0.37%(0.01%p↑), 신용카드채권이 1.12%(0.08%p↓) 했다.

국내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총 대손충당금 잔액/고정이하여신)은 113.2%로 100%를 상회했다.

지방(97.6%)·특수(111.3%)은행이 시중은행(120.6%)보다 낮긴 하지만, 2018년 새 리스 회계기준(IFRS9) 도입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금융당국은 설명했다.

노영후 은행감독국 팀장은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적립해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美 원전 르네상스에 ‘관세·밸류업 수혜’ 제친 원자력 ETF
  • 李대통령, 안보실 1차장에 김현종...네이버 출신 하정우 AI수석 임명
  • 상장주 5개 중 1개가 신고가…"정책株 내 순환매 가능성"
  • 단독 "지출 최대한 줄여라"…기재부, 추경 앞두고 전부처 '불용예산' 훑는다
  • 금감원·카카오, 불법 채권 추심 카톡 계정 이용 정지한다
  • 서울시 "외국인 부동산 거래 자금조달 내역 면밀히 검증"
  • [르포]"일회용품 없는 야구장 만들자"…빗속 한화구장서 울린 '그린스포츠'
  • 단독 한국교육개발원, 동료 집단 신고에 ‘직장 내 갑질’ 직원 해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65,000
    • -0.43%
    • 이더리움
    • 3,475,000
    • -0.54%
    • 비트코인 캐시
    • 639,500
    • +8.3%
    • 리플
    • 2,980
    • +0.68%
    • 솔라나
    • 206,500
    • +3.77%
    • 에이다
    • 865
    • +0.35%
    • 트론
    • 378
    • +0.27%
    • 스텔라루멘
    • 355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020
    • +0.51%
    • 체인링크
    • 18,080
    • -0.55%
    • 샌드박스
    • 358
    • -2.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