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작년 해외 M&A 사상 최대…올들어 주춤한 이유는?

입력 2017-03-13 09: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자본유출 심화 불안에 해외 M&A 강력히 억제…다롄완다의 미국 TV 제작업체 딕클라크 인수 무산

중국 기업들이 지난해 2250억 달러(약 260조 원)로 사상 최대 규모 해외 인수·합병(M&A) 기록을 세웠으나 올해는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가 자본유출 심화 불안으로 기업들에 해외 M&A 열기를 식힐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고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해외 M&A에 못마땅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는 신호는 지난 11일 중산 상무부장의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기간 기자회견에서 포착됐다. 중산 상무부장은 “기업들이 맹목적이고 비합리적인 투자를 일삼아 일부 업체는 이미 그 대가를 치르고 있고 심지어는 중국의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며 “감독을 강화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저우샤오촨 총재도 10일 기자회견에서 “일부 기업은 해외 M&A에 대한 정부의 요구사항과 정책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며 “스포츠 클럽과 엔터테인먼트 관련 딜은 중국에 많은 이익을 가져다주지 않는 것은 물론 해외에서 불만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 일부 기업 해외 M&A가 좌절되는 등 정부의 태도가 바뀌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분명한 사례도 나오고 있다. 중국 최대 부호 왕젠린이 이끄는 다롄완다의 10억 달러(약 1조1480억 원) 규모 미국 TV 제작업체 딕클라크프로덕션 인수가 지난 10일 결국 무산된 것으로 밝혀졌다. 사정에 밝은 관계자들은 중국 정부의 규제로 완다가 해외로 자금을 인출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인수가 실패로 끝났다고 전했다.

중국 구리가공업체 안후이신커신소재는 지난해 11월 미국 영화사 볼티지픽처스를 3억5000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계약을 체결했으나 1개월 후 안후이신커는 이를 철회했다.

중국은 자본유출 가속화에 따른 위안화 가치 추락을 막고자 지난 2년 반 동안 무려 1조 달러를 썼다. 또 정부는 지난해 11월 말 은행들에 500만 달러 이상의 모든 외환 유출 움직임에 대해서는 특별 승인을 요구하는 등 단속을 더욱 강화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40,000
    • -0.08%
    • 이더리움
    • 5,003,000
    • +2.54%
    • 비트코인 캐시
    • 543,500
    • +0%
    • 리플
    • 697
    • +1.6%
    • 솔라나
    • 190,200
    • -1.65%
    • 에이다
    • 545
    • +2.06%
    • 이오스
    • 805
    • +4.14%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2
    • +3.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750
    • +2.57%
    • 체인링크
    • 20,260
    • +4.81%
    • 샌드박스
    • 458
    • +5.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