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당 정책위의장-경제부총리, ‘협치’ 강조…“민생현안 우선 해결”

입력 2016-05-20 13: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여야3당 정책위의장이 우리경제의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여야3당 정책위의장은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제1차 민생경제현안점검회의를 열고 민생경제현안 등 당장 시급한 문제들을 우선적으로 해결하고, 한계기업 구조조정을 풀어가는 접근 방식에 대한 논의에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 변재일 정책위의장은 이날 회의에서 “현재 경제현상 민생현장에 대한 상황인식이 서로 다르고 원인을 다르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해법이 다를 수밖에 없다”며 “다른 해법에 대해서도 소통을 통해 올바른 해법을 찾아 나가는 노력을 할 수 있는 게 여야정 협의에서 기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변 정책위의장은 “3당의 이번 총선 공약을 보면 ‘청년 일자리 창출’ ‘건강보험부과율 개편’ 등을 3당 모두 공약했다. 이런 문제에 대해 3당간 협조를 해나갈 것 제안한다.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 김광림 정책위의장은 “각자가 주장하고 싶은,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그런 의정활동에서 경제 전체를 놓고 현상에 대한 인식을 같이 하면 대처방안이 다를 수 있다”며 “정부도 숨기지 말고 있는 그대로 다 보여주고 3당에서도 인식에 대해 공유하면서 앞으로 법이면 법, 예산이면 예산, 의정활동에 있어 공통되는 사안들을 빨리 찾아서 빨리 (해결) 하고 쟁점이 되는 부분은 이야기를 하면서 풀어가자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김 정책위의장은 “국민들이 국회에, 국회의원에 대해서 요구하는 것을 들어보면 제일 많이 듣는 게 ‘싸우지 마라’ 좀 싸우지 말고 오손도손 회의하라는 거다”라면서 “정책에 있어서는 그렇게 해 나가도록 열과 성을 다 하고, 경제부총리도 의회생활을 해본분이라 결과가 좋을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김성식 정책위의장은 “민생회의는 단기뿐 아니라 저출산 양극화, 심각한 서민경제의 어려움, 일자리의 양과 질 등과 같은 중장기적 과제 또한 논의해나갔으면 좋겠다”며 “(앞으로 이 회의를) 어떻게 정례화 할 것인가, 이런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구조조정 문제는 선제적이지 않았다. 미뤄오기만 했다. 그런데 정확한 진단이나 앞으로 어디까지 상처가 깊어질 것이라는 논의 없이 재원조달 논의만 이뤄진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며 “제대로 정도로 갔으면 좋겠다”고 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내외 요건 녹록치 않다. 정부 혼자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여야 정치권과 정부가 혁신을 통해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미래 성장 동력이라고 말한 신산업 투자를 과감히 해야 한다. 많은 규제가 있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민생회의가 경제문제 전반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주고받고 필요부분은 실제 정책화해 정책 협치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394,000
    • +0.43%
    • 이더리움
    • 5,007,000
    • +3.69%
    • 비트코인 캐시
    • 545,500
    • +1.87%
    • 리플
    • 694
    • +1.61%
    • 솔라나
    • 191,200
    • +0.9%
    • 에이다
    • 545
    • +3.02%
    • 이오스
    • 808
    • +5.48%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31
    • +3.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4.55%
    • 체인링크
    • 20,240
    • +6.02%
    • 샌드박스
    • 459
    • +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