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십자홀딩스(GC)의 액체생검 및 임상유전체 전문 계열사인 지씨지놈(GC Genome)은 11일 코스닥에 상장했다고 밝혔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지씨지놈은 공모가(1만500원)보다 36.2% 높은 1만4300원에 장을 시작해 1만5180원까지 올랐다가 1만2000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지씨지놈은 기술특례상장 기업으로 올해 두번째로 큰 규모의 공모를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인 유노비아가 20일(현지시간)부터 2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당뇨병학회(ADA)에 참가해 비만과 당뇨 등을 겨냥한 대사성 질환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과 관련한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고 10일 밝혔다.
유노비아에 따르면 ID110521156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수용체 작용제(GLP-1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인 유노비아(Yunovia)는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 참가해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중인 GLP-1 수용체 작용제 ‘ID110521156’의 임상1상 결과를 공개한다고 10일 밝혔다.
ID110521156은 경구용 저분자화합물 기반의 GLP-1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글로벌 초대형 제약사와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의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물질 이전 계약서(MTA, Material Transfer Agreement)’ 체결을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글로벌 기업의 경우 물질 이전 계약 체결에 앞서 기술 문서의 검토와 평가를 진행하는 실사(Due Diligence)를 통해 물
할로자임이 제기한 특허 심판이 무효화하면서 키트루다SC의 출시에 관한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소식에 알테오젠이 상승세다.
4일 오전 9시 27분 현재 알테오젠은 전 거래일 대비 9.71% 오른 38만4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엄민용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특허청이 할로자임의 MDASE 특허 관련 특허무효심판(PGR) 정식 심리를 개시했고,
신한투자증권은 4일 알테오젠에 대해 연내 다수 빅파마와 라이선스아웃(L/O) 체결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목표주가는 73만 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전 거래일 종가는 35만 원이다.
엄민용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미국 특허청(USPTO)이 할로자임의 엠다제(MDASE) 특허와 관련해 특허무효심판(PGR) 정식 심리를 개시한 가운데 할로
앱클론(AbClon)은 중국 헨리우스바이오텍(Shanghai Henlius Biotech)에 라이선스아웃한 HER2 항체 ‘AC101(HLX22)’이 유럽 집행위원회(EC)로부터 위암 치료제로 희귀의약품지정(orphan drug designation, ODD)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헨리우스는 지난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HLX22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글로벌 제약사와 상온 초장기 보관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기술이전을 위한 ‘물질 이전 계약서(MTA)’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mRNA 물질을 상온에서 10년간 보관할 수 있는 기술로 지질나노입자(LNP)는 버퍼 용액 속에서 1개월 이상 상온 보관할 수 있다. mRNA뿐만 아니라 다양
종근당(Chong Kun Dang Pharmaceutical)은 22일 노바티스(Novartis)에게 기술수출한 HDAC6저해제 ‘CKD-510’가 마일스톤을 달성해 기술료 500만달러를 수령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마일스톤 지급은 종근당이 발행한 인보이스(invoice)를 노바티스가 수령한 이후 진행될 예정이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마일스톤은 노바티
유한양행(Yuhan) 자회사 면역항암제 개발사 이뮨온시아(ImmuneOncia)가 16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이뮨온시아는 오전 11시 현재 공모가 대비 110% 오른 75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뮨온시아의 공모가격은 3600원으로, 지난 7~8일 진행된 일반공모 청약에서 913대 1의 경쟁률로, 약 3조7563억원의 청약 증거금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국내 대형 제약사와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의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물질 이전 계약서(MTA)를 수취하고,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MTA는 계약 상대방이 직접 확인 및 검증하는 과정으로 라이선스 아웃 프로세스 중 가장 결정적인 단계로 평가된다.
해당 플랫폼은 지난해 ARPA-H 국책과제에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GSK(GlaxoSmithKline)로부터 IGF1R 기반 혈뇌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Grabody-B)'의 라이선스아웃(L/O) 계약에 따른 반환의무가 없는 계약금(upfront) 739억원(3850만 파운드)을 수령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달 5일 GSK와 계약금 및 단기마일스톤 총
“그동안 바이오산업을 이끌어온 것은 면역항암제와 비만치료제였습니다. 그러나 미래에는 항노화 치료제가 새로운 먹거리가 될 것입니다. 세계의 부자들이 스위스나 태국이 아닌 한국에서 인생의 말년을 보내도록 해야 합니다.”
이병건 지아이이노베이션 고문은 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 코리아 2025’에서 ‘항노화 시장의 미래 전망과 한국의 대응
유한양행(Yuhan) 자회사 이뮨온시아(ImmuneOncia)의 최종 공모가가 30일 3600원으로 확정됐다. 일반투자자 청약은 내달 7일부터 이틀간 진행된다. 앞서 이뮨온시아는 희망공모가밴드를 3000~3600원으로 제시했었다.
이로써 총 공모금액은 329억원으로 확정됐으며, 공모가 기준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2628억원이다. 이뮨온시아의 상장 예정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인 바이젠셀(ViGenCell)이 iPSC유래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테라베스트(TheraBest)와 교모세포종 등 난치성고형암 치료를 위한 GD2 CAR-NK 세포치료제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바이젠셀은 이번 계약에 따라 테라베스트에 계약금 30억원을 지급하고, 테라베스트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에이비온은 클라우딘3(CLDN3) 타깃 항체 치료제 ‘ABN501’을 기반으로 면역항암 플랫폼의 이중특이적 T세포 인게이저 (Bispecific T-cell Engager) 확장 가능성을 전임상에서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로써 이중특이적 항체 기술을 활용해 고형암 치료 범위를 넓힐 수 있을 전망이다.
ABN501은 고형암에서 과발현하는 CLDN3
하이퍼코퍼레이션이 바이오 사업 부문의 신약 및 진단기기 중심 파이프라인 다변화를 통해 중장기 성장 모멘텀(동력)을 강화한다고 28일 밝혔다. 회사는 주요 개발 과제의 기술 고도화와 상업화를 통해 실질적인 수익 창출에 본격 착수했다.
현재 회사는 △NLRP3 인플라마좀 억제 기반 항염·항암제 △비마약성 진통제(MDR-652) △조기 치매 진단 보조 검사
“좋은 자산을 기술이전(라이선스 아웃)만 해서는 K바이오가 크게 성장하기 어렵습니다. 라이선스 아웃만 해서는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만 하게 됩니다. 우리 브랜드를 꾸준히 알리기 위해선 끝까지 임상을 진행해야 합니다.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시스템을 통해 스케일업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고종성 제노스코 대표는 24일 수원컨벤
HK이노엔(HK inno.N)이 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P-CAB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의 미국 임상3상에서 성공적인 결과가 도출됐다.
미국 파트너사인 미국 세벨라(Sebela Pharmaceuticals)는 23일(현지시간) 위식도역류질환(GERD) 환자를 대상으로 ‘테고프라잔(tegoprazan)’을 평가한 2건의 미국 임상3상 TRIUMpH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