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 이달 15일 ‘자율협약 체결’ 분수령

입력 2013-11-05 09: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TX가 열흘 뒤 기업 정상화를 위한 최대 분기점을 맞는다. 사채권자 집회에서 자율협약이 체결되면 STX는 채권 만기를 연장하고, 금리 인하를 통해 경영 정상화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STX는 오는 15일 사채권자 집회를 열고 ‘자율협약 체결’에 필요한 전제조건 중 하나인 ‘비협약 채권자들의 고통분담’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자율협약 체결은 기업이 일시적인 유동성과 신용위기로 도산 위기에 처했을 때 채권단이 이를 구제하기 위해 지원하는 정책을 말한다.

앞서 STX는 지난달 15일 서울 중구 STX 남산타워에서 사채권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명회를 개최하며 자율협약을 통한 경영정상화를 논의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약 140여명이 참석해 제88회 96회차 회사채와 97회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보유한 사채권자를 대상으로 STX의 재무구조개선 현황을 설명했다. 또 채권단 자율협약 체결의 필요성을 전달했다.

설명회는 STX의 조건부 자율협약 체결에 필요한 전제조건 중 하나인 ‘비협약채권자들의 고통분담’을 설득하기 위해 마련됐다. 구체적으로 채권 만기를 2017년 12월 말까지 연장하고, 금리를 1% 인하하는 안이 제시됐다.

안이 통과되면 STX는 회사채 상환 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가장 큰 산을 넘게 된다. 따라서 열흘 뒤 개최되는 사채권자 집회에서 체 사채권(발행사채 총수)의 3분의 1 이상, 출석 사채권의 3분의 2 이상이 동의하는지가 중요한 변수가 됐다.

STX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달 사채권자 설명회 당시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채권자들은 자율협약에 동의해 회사를 살리는 것이 현재로서 최선이라는 데 대부분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사채권자 집회가 계획대로 진행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STX 관계자는 “집회 준비 시간 등이 필요해 사채권자 집회가 15일 이후로 미뤄질 수도 있다”며 “사채권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며, 채권단과의 원활한 협의를 통해 성공적인 경영정상화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 연말 만기가 도래하는 STX 회사채는 2000억원 수준으로 이중 개인투자자들이 약 1500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채 평균 이자율은 6~7% 수준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오늘(18일) 의협 주도 병원 집단 휴진…휴진 병원 대상 불매운동 움직임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비트코인, ETF 매도세 지속에 지지부진…"자산운용사도 ETF 매수 주저"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328,000
    • -0.79%
    • 이더리움
    • 4,847,000
    • -3.16%
    • 비트코인 캐시
    • 556,500
    • -5.68%
    • 리플
    • 692
    • +0.87%
    • 솔라나
    • 191,400
    • -7.49%
    • 에이다
    • 533
    • -7.47%
    • 이오스
    • 790
    • -12.42%
    • 트론
    • 161
    • -1.83%
    • 스텔라루멘
    • 129
    • -5.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750
    • -8.86%
    • 체인링크
    • 19,240
    • -7.14%
    • 샌드박스
    • 447
    • -13.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