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절반, 인사 평가에 동반성장 추진 실적 반영

입력 2013-10-14 15: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대기업 10곳 중 5곳 이상이 동반성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는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동반성장 추진현황 및 인식실태 조사’ 결과 응답 업체(261개사)의 60.2%가 동반성장 전담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14일 밝혔다. 또 응답 업체의 49.4%는 최고경영자(CEO), 임직원의 인사 평가에 동반성장 추진 실적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 규모에 따라 동반성장 추진 상황에 차이를 보였다.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운용 중인 기업은 매출액 순위 △1~100대 기업 90.9% △101~200대 75.8% △201~500대 32.2% 등 순이었다. 임직원 인사 평가 반영률도 각각 83.1%, 51.5%, 26.3%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들 대기업들은 홈페이지 등 비대면 소통채널을 통해 협력사의 애로를 수렴하고 있으며, 응답 업체의 96.2%가 지난 1년간 협력사 현장을 방문하거나(73.2%), 앞으로 방문할 계획이 있는(23.0%) 등 협력사와의 의사소통 체계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곳 중 8곳(79.3%)이 협력사와 서면계약 시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하도급계약서를 사용하며, 원자재 가격변동 등으로 납품단가 조정 요청이 들어올 경우, 요구 금액의 60.4%를 반영한다고 응답했다.

납품대금의 경우 하도급법상 지급기일(60일) 보다 두 배 이상 빠른 평균 25일 이내에 지급해 주고 있으며, 기업 규모별로는 △100대 기업 17.1일 △200대 기업 24.4일 △500대 기업 32.3일 등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은 동반성장 추진 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기업현실에 맞지 않는 정책추진’(62.4%)을 꼽았고, ‘협력사에 대한 과도한 자금 지원 요구’(19.9%), ‘한계기업에 대한 지원 요구로 효과 분산’(7.7%), ‘중소기업간 동반성장 미흡’(6.1%)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협력센터 양금승 소장은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기업전반으로 동반성장 문화가 확산돼 건강한 기업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며 “기업의 경영자원과 동반성장 추진 수준 등 기업별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동반성장 모델이 개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단독 용역업체가 수익금 관리?…한국콘텐츠진흥원 '부외현금' 관행 적발
  • 게임 맛집 슈퍼셀의 야심작 '스쿼드 버스터즈'…"간단한데 맛있다"[mG픽]
  • 의료 파업, 국민 77.3%가 반대…"원인은 의사 기득권 지키기" [데이터클립]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단독 “호봉제 폐지”…현대차, 연구·일반직 임금체계 개편 재추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334,000
    • -0.36%
    • 이더리움
    • 4,829,000
    • -1.93%
    • 비트코인 캐시
    • 538,500
    • -7.79%
    • 리플
    • 688
    • -5.1%
    • 솔라나
    • 191,900
    • -4.19%
    • 에이다
    • 527
    • -6.73%
    • 이오스
    • 775
    • -11.23%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26
    • -9.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400
    • -10.72%
    • 체인링크
    • 19,050
    • -5.37%
    • 샌드박스
    • 435
    • -10.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