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100층]무너진 ‘133층의 꿈’… 700억 소송만 ‘활활’

입력 2013-04-04 11: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암 DMC ‘라이트타워’, 금융위기에 수익성 의문, 잇단 지연

부동산 침체의 그늘이 깊어지면서 용산개발 사업이 파열음을 낸 데 이어 주요 개발 프로젝트가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해 사업이 전면 무산된 133층 규모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랜드마크 사업을 두고 출자사 간 책임공방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상암동 DMC랜드마크 빌딩 조감도. 서울의 대표적 관광 명소를 만들겠다는 상암동 DMC랜드마크 사업의 목표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따른 수익성 논란에 좌초됐다.
◇책임 소재 두고 ‘팽팽’

일부 소수 출자사들은 대우 등 주요 건설사들이 주주협약을 위반한 탓에 사업이 실패로 끝났다고 주장하는 반면, 대우건설은 부동산 경기 침체라는 대외적 여건 변화가 주된 요인일 뿐이라고 대응하고 있다.

이 사업 공모자인 서울시는 지난달 7일 DMC랜드마크 용지 매매계약 해제와 관련해 이날 공청회를 열고 시행사인 서울라이트타워를 부정당업자로 규정하고 5~7개월간 입찰참가자격을 제한할 예정이다. 서울라이트타워는 교직원공제회(20.17%)와 대우건설(10.64%)을 주축으로 만들어진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다.

이 과정에서 밀레니엄빌더(1.91%) 등 전략적 투자자(SI)들은 서울시에 대우건설과 대림산업(5.04%)이 사업무산의 실질적 책임을 지고 제재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라이트타워는 사업을 위해 한시적으로 구성된 기구로 유상감자를 통해 청산절차에 들어가는 만큼 제재의 실효성도 없다는 게 소수 출자사의 판단이다.

주요 출자사에 따르면 대우건설 등 건설투자자(CI)는 지난 2008년 교직원공제회·SI들과 신용공여을 통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방식으로 자금조달을 책임지겠다는 특별약정을 맺었다.

하지만 대우건설 등이 지급보증을 해주지 않아 1조5000억원의 PF조달은 실패하고, 두 번의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이 수혈됐다. 자본금은 서울라이트타워 출범 시 700억원에 지난 2009년 840억원과 2011년 880억원이 추가 투입됐다.

이에 따라 소수 출자사들은 유상증자를 통해 불필요한 금액이 들어가면서 피해 규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밀레니엄빌더는 총 5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아울러 SI들은 대우건설 등이 시공권을 갖는 조건으로 건설부문의 모든 책임을 지기로 했음에도 서울시 공모안(100층 이상)을 크게 벗어난 80층 규모 건물로 변경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대우건설 관계자는 “PF조달이 안 되고 피해규모가 커진 것도 사업 리스크 안에서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며 “적자가 예상되는 계획안을 끝까지 고수할 수는 없었다”고 답했다.

A 출자사 관계자도 “사업 여건이 충분치 않았다는 점은 누구나 공감한다”면서도 “다만 주요 건설사가 파견한 서울라이트타워 임직원들의 역할이 미흡했다”고 말했다.

◇사업 전면 무산 배경

상암동 DMC랜드마크 사업은 3조7000억원을 들여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133층 빌딩을 짓는 프로젝트다. 서울의 대표적 관광 명소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오세훈 전 서울시장 시절인 2008년 서울시가 사업자를 공모하면서 시작됐다.

그해 6월 서울라이트타워가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직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사업 수익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착공이 지연됐다.

2009년 4월 서울시와 용지매매 계약을 체결한 서울라이트타워는 2010년 5월부터 10회에 걸쳐 나눠 내는 토지 분납금 중 4회차 일부와 5∼7차분에 해당하는 1122억원을 연체하며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서울시는 공사 착공이 지연되고 분납금이 연체되자 지난해 6월 1일 서울라이트타워와 계약을 해제, 사업이 무산됐다.

현재 서울시와 출자사는 700억원에 달하는 위약금을 놓고 소송전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서울시는 최근 상암동 DMC 건립사업 재개를 위해 빌딩의 층수를 100층 이하로 낮추고 용도를 호텔 등 숙박시설의 비중을 높이는 등 사업성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서울라이트타워 측이 사업성을 이유로 층수를 70층 이하로 낮추고 주거 비율을 30% 이상으로 조정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새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오피스텔과 주거용 시설 형태로 개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부동산 전문가들은 서울시의 과감한 정책 변화 없이는 상암 DMC랜드마크의 새 사업자 선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00,000
    • +0.52%
    • 이더리움
    • 5,042,000
    • +0.32%
    • 비트코인 캐시
    • 611,500
    • +1.49%
    • 리플
    • 701
    • +3.09%
    • 솔라나
    • 205,600
    • +0.54%
    • 에이다
    • 590
    • +1.55%
    • 이오스
    • 935
    • +0.43%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9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000
    • -1.06%
    • 체인링크
    • 21,260
    • +0.76%
    • 샌드박스
    • 543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