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23일(현지시간) 미·중 무역 긴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흔들기가 일단락되면서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419.59포인트(1.07%) 뛴 3만9606.57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88.10포인트(1.67%) 상승한 5375.86에, 나스닥종합지수는 407.63포인트(2.50%) 급등한 1만6708.05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나스닥지수는 이틀째 2%대의 급등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협상에 있어 열린 태도를 보이면서 시장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에 대해 “매우 높다. 0%가 되지는 않겠지만, 상당히 낮아질 수는 있다”며 중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합리적인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스콘 베선트 미 재무장관도 이날 양국이 무역에 있어 “큰 거래”를 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만약 그들이 재조정을 워한다면 함께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다만 낙관하기는 이르다는 전망도 있다. 글로벌트 인베스트먼트의 키스 뷰캐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CNBC방송에 “긴장이 완화된다는 아주 조금의 조짐이라도 시장이 기다려온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 최악의 상황은 끝난 게 아니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50~65% 사이로 낮추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후 이 관계자는 CNBC에 이러한 협상은 중국도 무역 장벽을 낮추는 등 양자 간의 노력이 뒷받침돼야 하는 것이라고 단서를 덧붙였다.
최근 몇 주간 중국 의존도가 높아 매도세가 이어졌던 애플과 엔비디아 주가가 이날 각 2.43%, 3.86%씩 상승했다. 테슬라 주가도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실적 발표에서 정부효율부(DOGE)에 들이는 시간을 상당히 줄이겠다고 밝히면서 급등해 이날 5.37% 급등했다.
투자자들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에 대한 압박을 거둔 것에 대해서도 안도한 듯 보인다고 CNBC는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5월 파월 의장의 임기가 끝날 때까지 그를 해고할 의도가 없다고 밝혔다.
국제유가가 23일(현지시간)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의 6월 증산 가속화 소식에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근월물인 6월 인도분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보다 1.40달러(2.20%) 떨어진 배럴당 62.27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런던ICE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6월물 가격은 전장 대비 1.32달러(1.96%) 내린 배럴당 66.12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몇몇 OPEC+ 회원국이 5월에 이어 6월에도 원유 증산 가속화를 제안할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OPEC+ 회원국 사이에서는 생산 할당량 준수를 둘러싸고 긴장감이 맴도는 상황이다. 필 플린 프라이스퓨처스 애널리스트는 “OPEC+ 국가들이 생산량을 늘리려 하는 게 놀랍지는 않다”며 “내부 결속력이 약해졌을 수 있고, 지금까지 생산을 억제해왔던 데 대한 피로감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OPEC은 아니지만 OPEC+에 포함된 카자흐스탄은 할당량을 초과해 원유를 생산함에 따라 OPEC+ 회원국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뒤늦게 “수요·공급의 균형과 예측 가능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해명하기도 했지만, 이미 앞서 에너지부 장관이 “OPEC+보다 자국 이익이 우선”이라고 말하면서 신뢰가 떨어진 상태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미국의 상업용 원유 재고는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증가했다. 18일로 끝난 한 주간 상업용 원유 재고는 24만4000배럴 늘어난 4억4310만 배럴로 시장 예상치 700만 배럴 감소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유럽증시는 미국과 중국 간 긴장 완화 기대감에 상승했다.
23일(현지시간) 범유럽증시 벤치마크 스톡스유럽6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9.06포인트(1.78%) 상승한 516.77에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 DAX지수는 668.44포인트(3.14%) 급등한 2만1961.97에, 영국 런던증시 FTSE지수는 74.58포인트(0.9%) 상승한 8403.18에, 프랑스 파리증시 CAC지수는 155.89포인트(2.13%) 오른 7482.36에 거래를 마쳤다.
주요 지수는 미국과 중국이 전면적인 무역 전쟁을 피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일제히 올랐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145%는 매우 높은 수치”라며 “그렇게 높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당히 낮아지겠지만, 0%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해당 발언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이날 중국과의 무역전쟁이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보도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면서 나왔다. 앞서 CNBC방송은 소식통을 인용해 “베선트 장관이 비공개회의에서 중국과의 무역 전쟁이 아주 가까운 미래에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세계 양대 경제국 간 긴장 완화 전망이 전 세계와 시장에 안도의 한숨을 줄 것으로 믿는다”고도 강조했다.
국제 금값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해임설을 일축하고 대중국 관세율을 인하할 것이라고 밝히자 하락했다.
23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뉴욕상업거래소(COMEX)에서 금 현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3% 하락한 온스당 3281.6달러를 기록했다. 6월물 선물 가격은 3.7% 내린 온스당 3294.10달러에 마감했다.
블루라인퓨처스의 필립 스트라이블 수석 애널리스트는 “시장이 관세 폭락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며 “안전자산 일부 자금들이 애플, 테슬라 등 특정 종목을 좇으면서 다시 대규모 자금 순환을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삭소뱅크의 올레 한센 애널리스트는 “기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 3500달러로의 폭발적인 상승세와 급격한 반전은 단기적으로 더 심각한 하락세 위험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파월 의장을 해고하라고) 절대 안 그랬다”고 말했다. 그는 “언론이 앞서갔다. 그를 해고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그가 금리 인하라는 아이디어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길 바랄 뿐”이라고 설명했다.
대중국 관세에 대해서도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145%는 매우 높은 수치”라며 “그렇게 높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당히 낮아지겠지만, 0%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주요 가상자산 가격은 상승했다.
미국 가상자산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한국시간 24일 오전 7시 55분 현재 24시간 전보다 1.08% 상승한 9만3790.0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가격은 3.33% 급등한 1803.44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리플은 0.98% 오른 2.23달러로, 솔라나는 1.51% 높은 151.33달러로 각각 거래됐다.
미국 달러화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이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감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해임되지 않을 것이라는 안도감 속에 상승했다.
23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ICE달러인덱스는 0.297% 상승한 99.86에 마감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0.86% 하락한 1.132달러, 파운드·달러 환율은 0.5% 하락한 1.3264달러를 기록했다. 달러·엔 환율은 1.27% 상승한 143.43엔으로 집계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파월 의장을 해고하라고) 절대 안 그랬다”고 말했다. 그는 “언론이 앞서갔다. 그를 해고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그가 금리 인하라는 아이디어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길 바랄 뿐”이라고 설명했다.
대중국 관세에 대해서도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145%는 매우 높은 수치”라며 “그렇게 높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당히 낮아지겠지만, 0%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 소식에 경기침체 불안감과 중앙은행 독립성에 관한 불확실성이 줄어들면서 달러에 일부 자금이 몰렸다.
다만 모넥스유럽의 니콜라스 리스 애널리스트는 “달러 하방 압력은 계속될 것이고 달러는 이전 최고치로 돌아가지 못할 것”이라며 “시장은 트럼프를 믿지 않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