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혼인 증가세 주춤…혼인 증가율 8개월 만에 최저

입력 2025-04-2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통계청 "2월 기준 11년 만에 증가 의의…상대적으로 출생아 적은 2월 특수성 반영됐을 수도"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출생·혼인 증가세가 주춤한 모습이다. 출생아 수 증가율은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혼인 건수는 ‘두 자릿수’ 증가율 회복에도 둔화 흐름을 보인다.

통계청은 23일 발표한 ‘2월 인구동향’에서 2월 출생아 수가 2만35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622명(3.2%)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1.7%)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그나마 1월 출생아가 11.6% 증가한 덕에 1~2월 누계 증가율은 7.6%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10~12월 3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던 상황과 비교하면 다소 아쉬운 실적이다.

다만, 이를 증가세 둔화로 보긴 어렵다는 게 통계청의 판단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2월 기준으로 2014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 증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전체 시계열로 봐도 2월 출생아 수는 다른 월보다 많은 편이 아니다. 2월의 특수한 상황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 불균형은 갈수록 심화하는 양상이다. 시·도별 1~2월 누계 출생아 수는 서울·인천은 각각 10.3%, 13.0% 증가했다. 경기도 9.8% 늘었다. 비수도권은 부산(10.5%), 대구(13.2%), 울산(9.4%)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회복세다. 반면, 강원(-3.5%), 경북(-1.4%), 제주(-4.6%)는 1~2월 누계 출생아 수가 ‘마이너스’다. 광주(1.7%), 대전(0.5%), 세종(5.4%), 충북(7.3%), 충남(5.0%), 전북(2.0%), 전남(6.7%) 경남(2.8%)은 증가율이 전국 평균을 밑돌고 있다.

출생의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는 2월 1만9370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2422건(14.3%) 늘었다. 설 연휴 이동에 따른 영업일 수 변동으로 증가율이 1월 0.7%로 둔화했다가 1개월 만에 두 자릿수를 회복했다. 1~2월 누계 증가율은 7.0%에 그쳤다. 증가율이 20% 안팎을 오가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증가세에 확연히 힘이 빠진 모습이다.

특히 혼인은 출생과 달리 실제 혼인일과 신고일 간 시차가 있다. 혼인 건수 증가에는 실제 혼인 증가뿐 아니라 주거·대출 등을 이유로 한 조기·지연 신고 효과가 혼재돼 있다. 지난해 혼인 건수에 조기·지연 신고 기여도가 크다면 당분간은 큰 폭의 혼인 증가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2월 합계출산율 0.82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0.05명 증가했다. 연령대별 출산율은 30세 미만에서 정체된 가운데, 35~59세에서 증가가 두드러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용률 하락하는데 실업률은 상승⋯청년 고용난 심화
  • 톰형의 30년 세월 녹아있는 미션 임파서블…그 마지막 이야기 [시네마천국]
  • "곡성으로 만발한 장미 보러 가세요"…문학 고장 옥천서 열리는 지용제 [주말N축제]
  • 간접적으로 직업 체험 해볼까…현실감 있는 직업 체험 게임 5선 [딥인더게임]
  • '환불 불가' 헬스장 분쟁 급증...소비자원 "장기·고액 계약 주의"
  • 이번 주말, 한강서 스트레스 날릴까...행사 풍성
  • 직원들 피켓팅 들고 일어난다…네이버에 일어난 일
  • 치매 원인 ‘알츠하이머병’, 초기 관리가 관건[e건강~쏙]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53,000
    • -0.04%
    • 이더리움
    • 3,524,000
    • -4.06%
    • 비트코인 캐시
    • 561,500
    • -0.18%
    • 리플
    • 3,349
    • -1.73%
    • 솔라나
    • 238,300
    • -1.73%
    • 에이다
    • 1,086
    • -0.91%
    • 이오스
    • 1,132
    • -5.35%
    • 트론
    • 381
    • -1.3%
    • 스텔라루멘
    • 410
    • -2.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000
    • -4.21%
    • 체인링크
    • 21,820
    • -5.3%
    • 샌드박스
    • 435
    • -6.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