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출생·혼인 증가세가 주춤한 모습이다. 출생아 수 증가율은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혼인 건수는 ‘두 자릿수’ 증가율 회복에도 둔화 흐름을 보인다.
통계청은 23일 발표한 ‘2월 인구동향’에서 2월 출생아 수가 2만35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622명(3.2%)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1.7%)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그나마 1월 출생아가 11.6% 증가한 덕에 1~2월 누계 증가율은 7.6%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10~12월 3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던 상황과 비교하면 다소 아쉬운 실적이다.
다만, 이를 증가세 둔화로 보긴 어렵다는 게 통계청의 판단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2월 기준으로 2014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 증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전체 시계열로 봐도 2월 출생아 수는 다른 월보다 많은 편이 아니다. 2월의 특수한 상황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 불균형은 갈수록 심화하는 양상이다. 시·도별 1~2월 누계 출생아 수는 서울·인천은 각각 10.3%, 13.0% 증가했다. 경기도 9.8% 늘었다. 비수도권은 부산(10.5%), 대구(13.2%), 울산(9.4%)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회복세다. 반면, 강원(-3.5%), 경북(-1.4%), 제주(-4.6%)는 1~2월 누계 출생아 수가 ‘마이너스’다. 광주(1.7%), 대전(0.5%), 세종(5.4%), 충북(7.3%), 충남(5.0%), 전북(2.0%), 전남(6.7%) 경남(2.8%)은 증가율이 전국 평균을 밑돌고 있다.
관련 뉴스
출생의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는 2월 1만9370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2422건(14.3%) 늘었다. 설 연휴 이동에 따른 영업일 수 변동으로 증가율이 1월 0.7%로 둔화했다가 1개월 만에 두 자릿수를 회복했다. 1~2월 누계 증가율은 7.0%에 그쳤다. 증가율이 20% 안팎을 오가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증가세에 확연히 힘이 빠진 모습이다.
특히 혼인은 출생과 달리 실제 혼인일과 신고일 간 시차가 있다. 혼인 건수 증가에는 실제 혼인 증가뿐 아니라 주거·대출 등을 이유로 한 조기·지연 신고 효과가 혼재돼 있다. 지난해 혼인 건수에 조기·지연 신고 기여도가 크다면 당분간은 큰 폭의 혼인 증가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2월 합계출산율 0.82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0.05명 증가했다. 연령대별 출산율은 30세 미만에서 정체된 가운데, 35~59세에서 증가가 두드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