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계약 10건 중 3건은 2년 만에 해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감원은 설계사 수수료를 다년간 분할 지급하고, 유지율을 주요 관리 지표로 설정하는 등 개선을 유도할 방침이다.
22일 금감원이 발표한 보험회사 판매 채널 영업효율 및 감독방향에 따르면 보험계약 유지율은 1년(13회차) 87.5%, 2년(25회차) 69.2%로 계약의 30%가 2년 내 해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국의 2년 유지율을 보면 △싱가포르 96.5% △일본 90.9% △대만 90.0% △미국 89.4%로, 해외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수수료 선지급 기간이 종료되는 3년(37회차) 유지율은 50%대로 하락하며 5년(61회차) 유지율은 46.3%에 불과했다.
생명보험의 경우 2021년 저금리 시점에 가입한 저축성보험의 해지 등으로 3년 차 이후부터 방카슈랑스 채널 유지율이 급격히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뉴스
전속과 보험대리점(GA) 채널의 경우 보험계약 초기(1년) 유지율은 각각 87.7%, 88.3%로 타 채널보다 높지만 3년 차 이후 50%대로 하락했다.
고객이 직접 상품을 선택하는 사이버마케팅(CM) 채널의 경우 장기유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불완전판매비율(불판율)은 0.025%로 지속해서 개선되는 추세이며 업권 간 불판율 차이도 축소됐다.
생보는 대면채널 불판율(0.051%)이 비대면채널(0.047%)보다 높으나 손해보험은 비대면채널(0.017%)이 대면채널(0.013%) 보다 높았다.
GA 채널 불판율은 전속 채널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됐으나, 생보의 경우 자회사형 GA와 일반 GA 간 불판율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불판율이 높았던 텔레마케팅(TM)채널도 지속해서 개선되고 있다.
보험사 전속설계사의 정착률(1년)은 52.4%로 전년(47.3%) 대비 5.1%포인트(p) 상승했다. 대면 교육의 활성화, 정착률 성과목표(KPI) 반영 등 생·손보 모두 전년 대비 각각 9.3%p, 2.7%p 상승했다.

보험사 전속설계사의 1인당 월평균 소득은 338만 원으로 최근 3년 동안 지속해서 증가했지만, IFRS 17 도입 등으로 보장성 보험판매가 확대되면서 1인당 모집계약의 월평균 수입보험료는 2140만 원으로 지속 감소했다.
수입보험료 대비 소득 비율은 2022년까지 10~12%대를 유지했으나 2023년도 13.3%로 상승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5.8%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은 수수료 개편 등을 통해 장기 유지율 제고를 유도하기로 했다. 높은 수수료 선지급 위주의 영업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선지급 한도를 부여하고 다년간 분할 지급하는 유지‧관리 수수료를 상반기 중 도입해 보험계약의 유지율 개선을 유도한다.
유지율 미흡 보험사에 대해서는 낮은 유지율에 대한 원인분석 및 유지율 개선계획 제출을 요구하고, 유지율을 보험사 감독‧검사의 주요 관리 지표로 설정할 계획이다.
규제가 완화되는 방카슈랑스 채널에 대한 감독도 강화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이후 방카슈랑스 채널의 보장성보험 판매가 증가하고 있고 이달부터 판매비율이 완화(25%→33% 이상)돼 방카슈랑스 채널의 경쟁이 심화할 우려가 있다"며 "제휴 보험사별 판매 비중 공시 신설, 상품 비교·설명의무 강화 등 방카슈랑스에 대한 영업행위 감독을 강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