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센트, 기업용 AI 모델 ‘훈위안’ 출시…“챗GPT·라마2보다 나아” 주장

입력 2023-09-07 15: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50개 이상 제품·서비스 기반으로 쓰일 것”
중국 AI 경쟁 가속화…“AI 전쟁 시작돼”
지난달 바이두·센스타임 등 생성형 AI 출시

▲2022년 9월 2일 중국 광둥성 선전시 난산구 텐센트 본사 앞을 한 남성이 지나가고 있다. 선전(중국)/로이터연합뉴스
▲2022년 9월 2일 중국 광둥성 선전시 난산구 텐센트 본사 앞을 한 남성이 지나가고 있다. 선전(중국)/로이터연합뉴스
중국 거대 기술 기업이자 국민 메신저 위챗을 운영하는 텐센트가 기업용 인공지능(AI) 대규모언어모델(LLM)인 ‘훈위안(Hunyuan)’을 공개했다.

7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텐센트는 중국 선전에서 개최한 연례 콘퍼런스에서 “기업들이 AI 모델 훈위안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훈위안은 50개 이상의 제품·서비스의 기반이 됐다”며 “1000억 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갖고 2조 개 이상의 토큰으로 훈련받았다”고 설명했다. 토큰은 AI 학습에 쓰이는 글자·단어 수로, AI 모델의 능력을 측정하는 데 쓰인다.

텐센트는 중국어와 영어로 대화할 수 있는 자사 AI 모델이 수천 개의 단어로 긴 글을 쓰고 특정 수학 문제를 푸는 등 특정 부분에서 “오픈AI의 챗GPT보다 더 낫다”고 강조했다. 또 메타의 최신 대규모언어모델(LLM) ‘라마 2’보다 할루시네이션(AI의 허위 정보 생산)이 30% 적다고 주장했다.

텐센트의 훈위안은 최근 중국 기술 기업들이 AI 모델을 경쟁적으로 내놓는 가운데 출시됐다. 장제 텐센트 부사장은 “7월까지 중국에서 출시된 LLM이 130여 종”이라며 “AI 모델의 전쟁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말 중국 당국은 바이두, 센스타임, 지푸AI, 바이추안 등 중국 기술 기업들의 생성형 AI 출시를 승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3: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50,000
    • -0.68%
    • 이더리움
    • 5,250,000
    • -2.02%
    • 비트코인 캐시
    • 650,000
    • -0.84%
    • 리플
    • 731
    • +0.14%
    • 솔라나
    • 235,700
    • -0.67%
    • 에이다
    • 629
    • -1.56%
    • 이오스
    • 1,129
    • -0.18%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50
    • -0.63%
    • 체인링크
    • 25,900
    • +1.77%
    • 샌드박스
    • 622
    • -0.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