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릉역은 실제 금촌동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미 금촌역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가까운 금릉동의 지명을 따라 붙여졌다. 금릉역의 역명이 유래한 금릉 일대의 마을은 본래 교하군 현내면 지역으로 쇠 또는 금이 묻혀있다 하여 쇠자, 쇠재, 금성이라 불리던 곳이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금릉리라 부르게 되었다.
오늘날 금릉역 인근에 흐르는 공릉천은 과거에는 금성천으로 불리며 수많은 상선이 드나들던 곳이다. 때문에 금화로 둘러싸였다 하여 금성리로 불리다가 능이 들어서면서 금릉이 되었다는 설과, 조선 제16대 인조와 인열왕후의 능인 장릉을 갈현리로 천묘한 후 교하군 관아를 이전하면서 금과 릉을 따서 금릉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자료=국가철도공단 ‘한국의 철도역’